SPACE THUNDER


             SPACE THUNDER


previously on thunder
now on thunder



HINOMIHO


저는 HINOMIHO라는 패션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8년부터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브랜드를 시작했습니다. 제 브랜드는 주로 중고 원단이나 사용되지 않게 된 원단을 모아 그것들을 조합하고 재구성하여, 색과 무늬를 즐길 수 있는 옷을 만들고 있습니다. 그때그때 손에 들어온 원단들을 즉흥적으로 조합하여 패치워크를 하고, 다시는 만들 수 없는 그 순간에만 태어나는 유동적인 옷 만들기를 하고 있습니다.

제가 지금의 방식으로 옷을 만들기 시작한 이유는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제가 옷을 배우기 시작했을 당시부터 이미 패션은 대량생산, 대량소비, 그리고 대량폐기가 이루어지고 있었습니다. 그런 시대에 제가 옷을 만든다는 것에 의문을 느꼈고, 스스로 납득할 수 있으며 제 마음이 편안해지는 옷 만들기를 하고자 했습니다. 둘째, 좋은 시대에 만들어진 질 좋은 원단이 빈티지 시장에 많이 유통되어 있었고, 그것을 손쉽게 구할 수 있었던 점입니다. 원래 저는 그림을 그리는 것을 좋아해서 오리지널 텍스타일을 잉크젯 프린트 등으로 제작하곤 했지만, 활동 초기에는 자금이 부족했기 때문에 프린트 원단으로 옷을 제작하고 판매하는 것은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다양한 무늬가 담긴 빈티지 스카프 등을 활용해 옷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셋째, 저는 색과 무늬를 조합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다양한 시대의 꽃무늬와 아름다운 원단들을 다루고, 그것들을 조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방식이 제게 잘 맞았습니다.

중고 원단이나 사용하지 않는 원단은 소량으로만 존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동일한 원단으로 여러 벌을 제작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원단을 조합할 필요가 생깁니다. 그 시기마다 원단의 라인업은 달라지고, 매우 귀여운 원단도 있지만 단독으로는 쓰기 어렵다고 느껴지는 원단도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 원단을 조합함으로써 단독으로는 활용하기 힘든 원단도 개성을 가진 흥미로운 옷으로 다시 태어납니다. 그것이야말로 제가 옷을 만드는 즐거움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원단을 완전히 제 뜻대로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지금 있는 원단을 어떻게 조화시켜 좋은 옷으로 만들어낼 것인가가 이 옷 만들기의 핵심이자 본질이 되었습니다. 저는 종종 생각합니다. 제가 표현하려는 것은 “개인”이 아니라 “세계”라는 것을요. 말로 하면 다소 수수께끼 같지만, 하나의 존재만을 표현하고 싶은 것이 아니라, 개인과 개인이 관계하며 함께 만들어내는 지금 여기의 세계를 표현하고 싶다는 뜻입니다. 그것은 리듬이기도 하고, 개체들이 서로 반응하고 영향을 주고받는 카오스이기도 하며, 동시에 조화이기도 합니다. 그림을 그릴 때도, 옷을 만들 때도 같은 감각으로, 이런 것을 만드는 것이 제 본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색과 무늬를 몸에 두르는 행위는 고대부터 인간이 해온 것으로, 저는 그것이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행위라고 생각합니다. 인류는 진화 과정에서 털을 잃고 대신 모피를 두르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야생에서 멀어져 가는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새의 깃털을 걸치고, 몸에 꽃과 같은 식물의 문양을 새기기도 했습니다. “치장한다”는 행위는 본래 자연이나 우주와의 연결을 의미하며, 경계를 허물고 이 세계와 하나가 되어 세상을 이해하려는 시도 자체라고 생각합니다.

자연이나 우주와 연결된다는 감각은 효율을 우선하는 사회에서는 필요 없는 것으로 여겨지기 쉽습니다. (저는 그것이 나쁘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그런 것들을 보완하는 역할로서, 인간의 마음에는 예술·음악·아트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옷은 “치장하는 행위”를 통해 직접적으로 우리의 몸에 작용합니다. 내면에도 강하게 작용하고, 동시에 외부 세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예전에 옷의 작용에 대해 생각했을 때, 그것은 마치 내면과 외면 사이에 존재하는 프리즘과 같다고 느꼈습니다. 내면과 외면을 동시에 반사하는 거울 같지만, 서로의 빛은 각자의 세계와 몸과 마음을 거쳐 새로운 빛으로 변화하며 이 세상을 나아가는 듯한 감각입니다. 제가 만드는 것도 그러한 사회의 바깥에 있는 넓은 세계를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게 하고, 자기 안의 세계와 바깥의 세계를 기쁨과 약간의 놀라움, 즐거움으로 연결시켜 줄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이 책에 실린 사진들은 지금까지 제가 만들어 온 옷들 중 일부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원단의 입수 상황이나 제 기분, 계절, 전시를 여는 장소나 사람들의 감각에 영향을 받아 그때그때 다양한 조합으로 옷을 만들어 왔습니다. 재고를 보관하지 않기 때문에 이 옷들은 모두 한 번은 누군가의 손에 넘어갔습니다. 지금까지 만든 옷들을 전부 사진으로 기록하지 못한 것이 아쉽지만, 이 책에 모아진 옷들을 즐겁게 감상해 주시면 기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최근 몇 년간 다양한 곳에서 전시를 하며, 단 하나의 개성을 지닌 옷과 사람이 만나 서로의 본질이 어우러져 옷도 사람도 빛나는 순간을 여러 번 목격했습니다. 그 풍경은 제게 큰 용기를 주었습니다. 정말 감사한 일이었습니다. 그 장면을 만들어 준 모든 분들, 그리고 함께해 준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HINOMIHO


I run a fashion brand called HINOMIHO. I started the brand in 2018 while working part-time. My brand mainly collects and reconstructs secondhand or unused fabrics to create garments that celebrate color and pattern. I work spontaneously, combining the fabrics that come into my hands at each moment, creating patchworks that can never be replicated—fluid garments born only in that specific time.

There are three main reasons why I started making clothes this way. First, from the time I began learning about clothing, fashion was already entrenched in mass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posal. In such an era, I questioned the meaning of making clothes and sought a way to create garments that I could believe in—ones that brought peace to my heart. Second, I discovered that many high-quality fabrics from past eras were widely circulated in the vintage market, making them easy to obtain. Although I loved drawing and used to make original textiles with inkjet prints, financial limitations in the early days made it difficult to produce and sell clothes with printed fabrics. So I began using vintage scarves with diverse patterns to make garments. Third, I simply love combining colors and patterns. This approach suited me perfectly, as I could work with floral patterns from various eras and beautiful fabrics. Since secondhand or unused fabrics often exist in limited quantities, it's challenging to create multiple garments with the same material. That’s why combining various fabrics becomes essential. The lineup of fabrics changes over time—some are irresistibly cute, while others seem difficult to use alone. But when combined, even those hard-to-use fabrics are reborn into uniquely expressive pieces. This, to me, is the joy of making clothes. Since I cannot fully control the materials, the essence of this practice lies in how to harmonize the fabrics at hand into a good piece.

I often think that what I aim to express is not the "individual" but the "world." That may sound abstract, but what I mean is that I don’t want to portray just a single being—I want to depict the world that is created through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the here and now we all inhabit. It is rhythm, it is chaos where entities interact and influence one another, and at the same time, it is harmony. Whether I’m drawing or making clothes, I act from the same sense. This, I believe, is my nature.

The act of wearing color and pattern is something humans have done since ancient times. I believe it’s an act that makes us truly human. As we evolved and lost our fur, we wrapped ourselves in animal hides. To soothe the loneliness of drifting away from the wild, we wore feathers and adorned our bodies with floral motifs. The act of "adorning" originally symbolized a connection to nature or the universe, a way of breaking down boundaries, becoming one with the world, and attempting to understand it.

In a society that prioritizes efficiency, the sense of being connected to nature or the cosmos is often deemed unnecessary. (I don't think that's inherently wrong.) But to balance that, I believe the human heart needs art, music, and creativity. Clothing, through the act of adornment, directly interacts with our bodies. It affects our inner world and influences the external world as well. When I once thought about the function of clothing, it felt like a prism that exists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elf. Like a mirror that reflects both inside and out, yet each light is transformed through the body and mind, becoming a new light that continues into the world. If what I create can help people feel even a small part of that vast world beyond society, and connect their inner and outer worlds with joy, surprise, or delight, I would be truly grateful.

The photographs in this book show only some of the garments I’ve created over the years. As mentioned, each piece was made through unique combinations influenced by the fabrics available, my feelings at the time, the seasons, and the people or places involved in exhibitions. Since I don’t keep inventory, each piece has already found its way to someone’s hands. While I regret not being able to document every garment I've made, I hope you enjoy the ones gathered in this book.

Lastly, in the past few years of holding exhibitions in various places, I’ve witnessed moments where a one-of-a-kind garment and a person met, and their essences resonated—lighting up both the clothing and the wearer. Those scenes have given me great courage. I’m deeply thankful. To everyone who created those moments and shared them with me, I offer my heartfelt gratitude.



2025.10.04 - 2025.10.10

now on thunder


땅이 내어준 것을 어루만지며

이유진 개인전


자연의 모든 것은 저마다 다른 형태와 색, 질감을 갖고,
무심히 지나치는 작은 돌조차 고유한 모습을 품고 있다.

이번 작업에서는 땅이 품고 있던 흙과 광물, 돌이 재료가 되어 하나의 조화로운 모습으로 남 아 있다.

자연 재료 그대로의 낯섦과 익숙함 사이를 오가며,
새로운 감각을 느끼는 경험을 전하고자 한다.



이유진 작가의 <땅을 담아> 시리즈는 흙과 광물, 돌이 빚어낸 자연의 깊이를 담아낸 도자 작업으로, 땅이 지닌 시간과 물질성을 섬세하게 포착한다.
2024년부터 2025년에 걸쳐 제작된 20여 점의 작품들은 땅의 숨결이 응결된 결정과도 같다. 작은 돌의 숨결에서부터 한 줌의 지평선을 담은 빛까지, 흙이 간직한 시간의 결을 따라 저마다의 깊이와 높이 속에서 일관된 조형적 언어를 보여주고 있다.

‘짙은 하늘’, ‘흰 빛’, ‘여린 꽃빛’, ‘햇빛이 든’, ‘옅은 안개’, ‘피어난 빛’ 등 각 작품이 지닌 이름은 그 자체로 땅의 현상을 머금은 시가 된다. 백색, 청색, 그리고 은근히 붉게 스며드는 색조는 고요한 땅의 숨결을 품고, 불의 변주 속에서 고유한 흔적을 드러내는 듯 하다.이유진의 작품은 땅이 내어준 선물과 이를 어루만진 인간의 사유가 교차하는 층위에서 탄생한다. 이를 통해 낯섦과 익숙한 사이에서, 흙이 전하는 기억과 새롭게 피어나는 감각을 동시에 맞이하길 기대한다.








공간 썬더 디렉터,
예술학 박사
정은지
-


Caressing What the Land Has Given

Lee Yujin Solo Exhibition


Everything in nature carries its own form, color, and texture—
even the smallest stone we pass by holds a unique presence.

In this work, soil, minerals, and stones once held by the earth become materials that remain together in a single harmonious form. Moving between the strangeness and familiarity of natural matter as it is, the work seeks to offer an experience of sensing anew.

Yu Jin Lee’s Embracing the Earth series consists of ceramic works shaped by soil, minerals, and stone, capturing the depth of nature and delicately revealing the materiality and passage of time held within the earth. Created between 2024 and 2025, the twenty-some pieces are like crystallized breaths of the earth. From the quiet presence of a small stone to the light that holds a fragment of the horizon, each work traces the grain of time embedded in clay, unfolding a consistent sculptural language across varied depths and heights.

Titles such as Deep Sky, White Light, Tender Flower Hue, Sunlit, Faint Mist, and Blossoming Light become poems in themselves, each embodying natural phenomena of the earth. Shades of white, blue, and subtle red hues carry the quiet breath of the land, while the variations of fire leave behind unique traces.

Lee’s works emerge at the intersection of gifts bestowed by the earth and the contemplations of human touch. Through them, one may encounter both memory and new sensations—dwelling between the unfamiliar and the familiar, as the earth whispers and reawakens its presence.



Dr. Eunji Jeong,
Director of Space Thunder


2025.09.23 - 2025.09.28

now on thunder

공간썬더 초대전시

팔림프세스트 - 사라지며 남는 것들

정미정


기억은 단순한 과거의 재현이 아니다. 시간의 흐름 속에서 끊임없이 변형되고 삭제되며, 동시에 새로운 형태로 생성된다. 완결되지 않은 채 늘 불완전하고, 다시 쓰이는 텍스트로서의 성질을 지닌다. 이 점에서 기억은 하나의 팔림프세스트(palimpsest)와 닮아 있다. 지워지면서 남고, 남으면서 덧입혀지며, 그 흔적의 중첩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팔림프세스트는 원래 문헌학과 고고학의 개념에서 출발했지만, 현대 철학과 예술에서는 기억과 흔적, 시간의 중첩을 사유하는 은유로 확장되었다. 그리스어 palin(다시)과 psēstos(긁다)에서 유래한 이 개념은, 지워진 흔적 위에 새로운 흔적이 남더라도 과거의 흔적이 완전히 소멸하지 않고 배경 속에 잔존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기억의 본질과도 같다. 기억은 고정된 기록이 아니라, 지워지면서도 남고, 남으면서도 변형되는 층위적 존재다.

정미정의 회화에서 이러한 기억의 성질이 잘 드러난다. 건물의 격자, 스쳐가는 사람, 빛의 떨림과 같은 섬세한 묘사는 사실적 재현이 아니다. 흐려지고 지워진 흔적으로 남아 있으면서, 동시에 새로운 색과 선의 중첩 속에서 다시 태어난다. 사라짐과 남음, 부재와 현존이 교차하며 형성된 풍경은 익숙하면서도 낯선 감각을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회화적 과정은 단순한 개인적 기억의 재현을 넘어선다. 그것은 시간과 공간, 경험과 정체성이 얽혀 만들어내는 존재의 층위를 시각화하는 행위이다. 기억은 사라짐 속에서만 남고, 흔적 속에서만 드러난다. 그의 작업들은 과거의 기록이 아니라, 사라짐과 남음의 상호작용 속에서 끊임없이 다시 쓰이는 기억의 역동성을 담고 있다. 이는 마치, 시간에 의해 침식되면서도, 사라짐을 통해 새로운 형태로 남아나는 기억의 운명을 보여주는 것 같다. 그것은 회화라는 언어로 풀어낸, 하나의 시적이고 철학적인 작가의 진술로 볼 수 있을 것이다.

-

Space Thunder Invited Exhibition

Palimpsest - What Remains as It Fades

Jung Mijung


Memory is never a simple reproduction of the past. It transforms and shifts over time, always incomplete and always in the process of being rewritten. In this sense, memory resembles a palimpsest: traces that are erased yet remain, lingering beneath new layers and generating meaning through their overlapping presence.

The paintings of Mijung Jung embody this palimpsestic quality of memory. Architectural grids, fleeting figures, and the trembling of light appear not as faithful reproductions but as fragments such as blurred, erased, and reborn through layers of color and line. In her work, disappearance and persistence coexist, creating landscapes that are at once intimate and estranged.

Her artistic process is not about preserving or recording a fixed past, but about visualizing how memory continually erodes, resurfaces, and transforms. Through this, she reveals the paradoxical destiny of memory: to fade with time, yet to remain in new forms. Each painting becomes a site where the instability of memory is translated into visual thought, a poetic and philosophical statement expressed through the language of painting.

2025.09.13 - 2025.09.21
now on thunder


평면 조립 

김규원, 박에스더, 이수빈, 이재희,정은지,최은혜



인쇄물은 단지 그림이 아니다. 그것은 수많은 도트dot의 결합으로 탄생하는 조합의 장이다. 평면 위에서 서로 다른 기술과 감각이 중첩되고, 분해되고, 재배열된다. 이 과정 속에서 우리는 단절된 감각들을 하나의 질서로 조직하는 방식, 즉 조립assemblage의 움직임을 발견하게 된다.

「평면 조립 Flat Assemblage」은 스크린프린트, 리소그래프, 디지털 프린트, 콜라주, 페이퍼아트 등의 다양한 인쇄 기반 평면 매체를 통해 6인의 작가가 각기 다른 파편적 조형 언어를 한 공간 위에 병치하고 조합하는 실험이다. 아상블라주assemblage가 물리적 오브제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형식을 생성하듯 이 전시는 인쇄라는 평면성 위에서도 이질적인 요소들 간의 관계와 조화를 탐색한다. 아상블라주 이론은 다수의 이질적 요소들이 관계망 속에서 비非선형적으로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를 생산하는 과정에 주목한다. 이 전시의 인쇄 작업 또한 고정된 내러티브 대신, 유동적인 조립 과정을 거쳐 관람자가 스스로 조합의 맥락을 구성하도록 여지를 남긴다. 서로 다른 시점과 기술이 한 평면 위에서 만들어내는 관계의 순간들,

그것이 이번 전시 공간의 핵심 풍경이다.

인쇄는 결과물이 아니라 개방된 가능성으로서

다시 조립될 수 있는 잠재 상태이다.

「평면 조립 Flat Assemblage」은 단일 메시지가 아니라, 관람자 자신이 조립 가능한 조각들 사이를 가로지르며 내면의 연결고리를 발견하도록 유도한다.



충주시, 충주문화관광재단 지원
-


Flat Assemblage

Kim Kyuwon, Park Esther, Lee Subin, Lee Jaehee, Jung Eunji, Choi Eunhye


Print is not merely an image. It is a field of combinations born from the convergence of countless dots. On a flat surface, different techniques and sensibilities overlap, decompose, and are rearranged. Through this process, we discover a method of organizing fragmented sensations into a single order—an act of assemblage.

「Flat Assemblage」 is an experimental exhibition where six artists juxtapose and combine their distinct, fragmented visual languages within a shared space through print-based flat media. Just as the theory of assemblage generates new forms through the physical combination of disparate objects, this exhibition explores the harmony and relationships between heterogeneous elements within the flatness of print. The assemblage theory focuses on the process in which multiple disparate components form new structures through nonlinear interactions within a network.

Likewise, the print works in this exhibition do not deliver fixed narratives but instead leave room for viewers to construct their own contexts through a fluid process of assembly. The moments of relationality created on a single plane—between different viewpoints and techniques—form the core landscape of this exhibition space.

Print is not a finished outcome, but a latent state—an open possibility to be reassembled. 「Flat Assemblage」 does not present a singular message; rather, it invites viewers to traverse between composable fragments and discover inner connections of their own.

Supported by Chungju City and Chungju Cultural & Tourism Foundation
2025.08.22 - 2025.08.31

-


제 8회 골목
D’ 수작

장남혁,이수철, 조미영, 김지은,
이봉식, 연세영, 남상호, 조수정,
임가영, 안지예, 김영주, 최희선,
레나lena,김영배, 박경귀, 김용진,
박찬미, 김미자, 조효선, 이수진,
백경민, 윤진숙, 이혜정, 이효정





D-秀作

글| 이봉식(미술학박사)

갑자기왠‘D’인가? Dream, Dog, Drama, Desire, Diversity, Departure등, 익숙한단어부터뜻밖의의미까지품고있어해석의여백이풍부한문자다. 이번전시제목인‘D-秀作’은이러한다의적이고해학적인상상에서출발한다. 작가각각의고유한시선과표현을존중하며, 그안에서피어난빛나는‘秀作(수작)’들을한자리에모았다.

이번전시는2013년부산스튜디오1129의‘골목전’에서시작된여정의연장선에있다.매해도시의골목을무대로삼아실험성과다양성,그리고공동체적예술실천을꾸준히이어온‘GolmokArtistCollective’는일상의공간을예술로바꾸는작업을지속해왔다.그러나2021년을끝으로한동안전시의흐름을멈추게되었다.팬데믹과격동의사회변화는전시의맥을잠시끊었지만,그시간은예술을위한더깊은내면의탐색이기도했다.그리고2025년,‘D’를품고다시출발하게되었다.‘D-秀作’은전시그자체가하나의드라마다.‘Dream’처럼작가들이바라보는미래에대한상상이녹아있고,‘Dog’처럼유머와애정이깃든시선도존재한다.‘Drama’와같이삶의격랑속감정을끌어올리는작품도 있고,‘Desire’를소재로인간본성의욕망을탐색한작업도있다.여기에무엇보다중요한것은‘Diversity’,즉예술가각각의독자적인조형언어와삶의궤적이엮이며어느하나의방식으로환원되지않는풍성한다양성이다.매체또한다채롭다.회화,조각,섬유,사진,설치,공예,디자인,서예,건축등장르를넘나드는작업들이한공간안에서조우한다.서로다른배경과시선,시대적감각을가진작가들이모였지만,이들은각자의방식으로같은질문을던진다.‘지금,여기에서예술은무엇을할수있는가.’이질문은때로미소짓게하고,때로침묵하게하며,때로는감정을흔든다.

‘D-秀作’은단정하지않고, 구속하지않으며, 열려있는전시다. 관람자가자유롭게해석할수있는열쇠로남는다. 그것은유쾌한말장난처럼가볍고, 동시에무거운삶의조각을품은기호다. 전시장을거닐다보면, 누군가는‘D’에서‘Departure’의뉘앙스를감지할수도있다. 다시시작되는시간, 다시꺼내보는이야기, 다시만나는예술의자리—이전시는그런‘다시’들의집합이다. 예술은때로말보다깊고, 일상보다더가까이에서우리를위로한다. ‘D-秀作’은예술의언어로지난시간의고요한축적과앞으로나아갈리듬을나누고자한다. 전시에참여한작가들의다름은간극이아니라, 서로를빛나게하는공존의조건이다. 그다름속에서우리는웃고, 떠오르고, 기억하게된다.

각자의‘D’를상상해본다.

이전시는어떤단어로남게될까.

-


8th Golmok Exhibition
D’ Sujak (D-秀作)

Participating Artists:
Jang Nam-hyuk, Lee Soo-cheol, Cho Mi-young, Kim Ji-eun,
Lee Bong-sik, Yeon Se-young, Nam Sang-ho, Cho Soo-jung,
Lim Ga-young, Ahn Ji-yeh, Kim Young-joo,
Choi Hee-sun,Lena, Kim Young-bae, Park Kyung-gwi,
Kim Yong-jin,Park Chan-mi, Kim Mi-ja, Cho Hyo-sun,
Lee Soo-jin, Baek Kyung-min,Yoon Jin-sook,
Lee Hye-jung, Lee Hyo-jung



D-秀作
Text by Bong-Sik Lee (Ph.D. in Fine Arts)

Why suddenly the letter “D”? From familiar words like Dream, Dog, Drama, Desire, Diversity, to unexpected meanings, "D" is a letter rich with interpretive possibilities. The title of this exhibition, D-秀作 (D-Sujak), emerges from such playful and metaphorical imagination. Respecting each artist’s unique perspective and expression, we bring together their shining “秀作 (Sujak: outstanding works)” in one space.

This exhibition continues the journey that began in 2013 with the “Golmok Exhibition” at Studio 1129 in Busan. Each year, the Golmok Artist Collective has turned urban alleyways into stages for experimental and diverse artistic practices, rooted in a spirit of community. Although this ongoing flow of exhibitions paused after 2021 due to the pandemic and sweeping social changes, that pause also served as a time for deeper inner reflection through art. And now, in 2025, the journey resumes—carrying “D” as a symbol.

D-秀作 is a drama in itself. Like Dream, it contains the artists’ visions of the future; like Dog, it is filled with humor and affection. Some works evoke deep emotions, like a Drama, while others explore human nature through the theme of Desire. Most importantly, it celebrates Diversity—a richness born from each artist’s unique visual language and life trajectory, refusing to be reduced to any single interpretation. The media are equally diverse: painting, sculpture, textiles, photography, installation, crafts, design, calligraphy, architecture—all come together in a shared space. The participating artists come from different backgrounds, with varying perspectives and senses of time, yet they pose the same essential question in their own ways:
“What can art do, here and now?”

This question may provoke a smile, silence, or emotional resonance.

D-秀作 is not conclusive, not restrictive, and remains open. It is a symbol that allows for free interpretation by the viewer. Like a witty pun, it can be lighthearted, yet it also carries fragments of life’s weight. As you walk through the exhibition, one might sense the nuance of Departure in the letter “D”—a restart, a retelling, a renewed encounter with art. This exhibition is a gathering of such moments of “again.” Art, at times, speaks deeper than words and offers comfort even closer than everyday life. D-秀作 aims to share the quiet accumulation of past time and the rhythm of moving forward, through the language of art.

The differences among the participating artists are not gaps, but conditions for mutual brilliance—for coexistence. In these differences, we laugh, we recall, we rise.

Imagine your own “D.”

What word will this exhibition leave behind?


2025/08/04 - 2025/08/12

-

<사적인 여름 >


김정아 묵등 박채연 양지 이호 임정아 주핑 최정우 하윤


여름은 언제나 바깥에서 온다.

계절은 문득 들이닥치고, 온도와 빛, 냄새와 소리로 우리를 감싸며 오랜 기억의 문을 연다. 김애란 작가의 소설 〈바깥은 여름〉 속에는 그런 문들이 있다. 누군가는 아직 열지 못한 채 곁에 두고만 있던 문, 누군가는 이미 지나쳐온 문. 그 문 너머에 자리한 시간 들은 어떤 이에게는 고요하고, 또 어떤 이에게는 결코 잊을 수 없는 시간이기도 하다.

이번 전시 〈사적인 여름〉은 김애란 작가의 소설 〈바깥은 여름〉을 매개로, 이호선 스튜디오에 속한 아홉 명의 작가가 자신의 기억과 감각을 꺼내어 작품으로 풀어낸 결과다. 작가들은 소설 속 에피소드들을 따라가며, 어느 지난날의 풍경이나 감정, 혹은 스스로도 잊고 있던 순간들을 마주한다.

작품들은 저마다의 결을 지닌다. 그 결은 알았지만 더는 모르는 장소들, 내뱉은 말들과 속으로 삼킨 말들, 이름이 있었지만 더는 아니게 된 감정들을 더듬으며 화면 위 작품으로 변모한다. 어떤 작품은 정지된 채 되감아 지는 것 같고, 또 어떤 작품은 켜켜이 쌓인 시간의 더께를 떠올리게 한다. 이렇게 되살아난 시간 들은 작가 자신만의 것이지만, 어느 계절들을 지나온 우리의 마음에도 물결을 일으킨다.

〈사적인 여름〉은 결국 ’나의 이야기‘를 말하면서도 ’우리의 이야기‘로 확장되는 전시다. 절대 뒤돌아보지 말라는 충고에도 불구하고 기어코 뒤돌아 봐 버렸을 때, 맑던 시냇물을 온통 흙탕물로 만들던 비가 내렸을 때, 바깥에 여름이 휘몰아칠 때. 우리는 각자의 방식으로 그것을 마주하고, 조용히 간직하거나 소리 없이 흘려 보낸다. 그 모든 사적인 여름의 단면들이 여기에 있다. 당신의 여름은 어떤 얼굴을 하고 있는가.
글 최중훈
-

<Private Summer>


Kim Jung-a, Mukdeung, Park Chae-yeon, Yangji, Lee Ho, Lim Jung-a, Zhu Ping, Choi Jung-woo, Ha Yoon

Summer always comes from the outside.

It arrives suddenly—enveloping us in temperature, light, scent, and sound—and opens the doors of long-held memories. In the novel "The Outside is Summer" by Kim Ae-ran, there are such doors: some that remain closed beside us, never yet opened; others we have already passed through. The time beyond those doors may be tranquil for some, and unforgettable for others.

The exhibition <Private Summer> is based on Kim Ae-ran's novel "The Outside is Summer", featuring works by nine artists from Lee Ho-sun Studio. Drawing from their personal memories and sensations, the artists respond to the novel's episodes—revisiting landscapes and emotions of the past, or confronting moments they themselves had forgotten.

Each piece carries its own texture. That texture traces places once known but now forgotten, words spoken and words swallowed, feelings once named but no longer recognized. Some works feel like time paused and rewound; others resemble layers of time built up over the years. Though these revived times belong to the artists themselves, they stir echoes in our own hearts—those of us who have lived through similar seasons.

In the end, <Private Summer> speaks of "my story" but extends toward "our story." When we turn back despite being warned not to, when the rain muddied what was once a clear stream, when summer storms through from the outside—each of us meets those moments in our own way. Some are quietly kept, some are silently let go.
All those fragments of private summers are here.
What face does your summer wear?

text by Choi Jung-hoon

2025/07/25 - 2025/08/03

-

<잔여의 시선들 >

이강호

현대의 이미지들은 결코 단일한 시선으로 포착되지 않는다. 매끈한 유리, 빛을 튕기는 외벽, 도시의 반짝이는 파사드 — 이 모든 반사 표면들은 세계를 뒤틀고, 나를 타자화하며, 시선을 분기시킨다. 사진은 이러한 반사의 순간을 포착함으로써, 우리가 현실이라 믿는 장면의 ‘두 번째 얼굴’을 마주하게 한다.

이 전시는 거울과 유리, 건물의 표면처럼 광택 나는 재료에 반사된 이미지들을 아카이빙한다. 그러나 이 작품들은 단순히 대상을 되비추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가 어떻게 중첩되고 전이되며, 하나의 주체적 시선이 아닌 수많은 위치에서 ‘응시된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작가들은 반사된 풍경 속에서 익숙한 사물과 장소가 낯설어지는 순간을 붙잡고, ‘표면’이라는 경계 위에서 새로운 시각적 서사를 구축한다. 이는 단순한 시각적 기교를 넘어, 시선의 구조와 이미지의 정치학, 그리고 시각적 존재론에 대한 탐색이기도 하다.
-

<Residual Gazes - Through the Looking Surface>

Lee Kangho


Modern images are never captured through a single gaze. Smooth glass, light-reflecting facades, the glistening surfaces of the city, which is all these reflective materials distort the world, turn the self into the other, and split the gaze. Photography, by capturing these moments of reflection, confronts us with the "second face" of the scene we believe to be reality.

This exhibition archives images reflected in glossy materials such as mirrors, glass, and architectural surfaces. But these works do not merely mirror their subjects; they reveal how images are layered, transferred, and viewed not from a singular, fixed perspective, but through countless positions of gaze.

The artists seize those moments when familiar objects and places become estranged within reflected landscapes, constructing a new visual narrative upon the threshold of "surface". Beyond visual trickery, this is an exploration of the structure of vision, the politics of imagery, and the ontology of the visual itself.

2025/07/18 - 2025/07/21


-



서울에서 만나는 <천 개의 카메라 – 발리> 워크숍 전시와 기부 마켓


김철승, 두이 아스티니, 박지연, 성남훈, 송영동, 양병만, 이지원, 최혜숙



1점당 10만원 / 작품 구입하시는 분들께는 후지필름이 제공하는 굿즈를 드립니다.


발리의 이야기가 서울에서 만나는 <천 개의 카메라 - 발리>는 다채로운 도쿄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판매해 기부하는 전시입니다. 전시에는 <후지필름 글로벌 사진 네트워크 전시, 워크숍 – 발리>에 참여한 사진가 8명의 사진들이 전시됩니다. 오프닝에는 <하루 더 마켓 + 파티>가 어우러지며 작품은 공히 10만원에 판매됩니다. 이를 통해 모아진 기금은 후지필름 코리아의 후원금과 함께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이 진행하는 한국과 아시아태평양 국가 청소년들이 모여 사진으로 교류하는 <국제이해교육 사진교실>에 지원됩니다. 후지필름 코리아는 사진을 통해 더욱 글로벌한 공감을 형성하고, 공익적 나눔을 통해 사진가들과 더욱 큰 보람을 나누려 합니다.

주최: 후지필름 코리아
협력: 월간사진, 꿈꽃팩토리, 공간썬더, 사진바다
-



<A Thousand Cameras -  Bali>  Workshop Exhibition & Charity Market in Seoul

Kim Cheol-seung, Dwi Astini, Park Ji-yeon, Sung Nam-hoon, Song Young-dong, Yang Byung-man, Lee Ji-won, Choi Hye-sook

Each photograph is priced at 100,000 KRW.
Buyers will receive special goods provided by Fujifilm.


“A Thousand Cameras: Bali – Where Stories from Bali Meet Seoul”
This exhibition showcases photographs captured during the Fujifilm Global Photo Network Workshop – Bali, featuring works by eight photographers who took part in the program.

All works are priced uniformly at 100,000 KRW and are available for purchase during the exhibition.
An opening event will feature a special “One More Day Market + Party”, blending celebration and sharing.

Proceeds from the exhibition, together with sponsorship from Fujifilm Korea, will be donated to the UNESCO Asia-Pacific Centre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PCEIU). The funds will support the Photo Classroom for Global Understanding, a program where young people from Korea and other Asia-Pacific countries connect and communicate through photography.

Fujifilm Korea hopes to foster deeper global empathy through photography and create meaningful opportunities for photographers to contribute to the public good.

Organized by: Fujifilm Korea
In collaboration with: Monthly Photo, Dreamflower Factory, Space Thunder, Photo Bada

2025/06/22 - 2025/06/29



-

<On the Wave 파도 위에서>
문요


파도를 기다리는 동안, 물 속에 손을 담그고 가만히 있는 시간을 좋아한다. 먼 바다에서 물결이 시작되면 손에 닿는 밀도가 달라진다. 묵직하고 시원한 물 덩어리가 손바닥을 밀어내며 틈새로 빠져나간다. 그러면 직감한다. 파도가 오고 있구나. 약속이나 한 듯 수평선 위로 길고 선명한 줄이 다가온다. 태평양의 뜨거운 햇볕을 받으며 수천 킬로미터를 여행하던 파도가, 양양 바다에 떠 있던 작은 인간에게 도착한 것이다.

가끔은 파도가 너무 커서 겁이 나 도망치고, 때로는 눈앞까지 다가온 기회를 허무하게 흘려보내기도 한다. 하지만 언젠가는 나에게 꼭 맞는 높이와 세기의 파도가 찾아온다. 황급히 몸을 돌려 해변을 향해 팔을 젓고, 밀려오는 힘이 보드를 들어올릴 때 본능적으로 일어난다. 그리고 파도와 함께 앞으로 나아간다. 날이 선 물살이 부서져 하얀 포말이 되기까지.

한바탕 신나게 파도를 타고 나면 어느새 나는 어린아이로 돌아간다. 해 질 무렵 놀이터에서 그네를 타며 구슬땀을 흘리던 그 시절의 나로. 내가 누구였는지, 무슨 고민을 했는지, 아무것도 생각나지 않는 순간이 온다.

이 경험은 내가 그림을 그리고 이야기를 지을 때 가장 밑바탕이 되는 감각이다. 자연과의 교감, 기다림의 시간, 본능적인 움직임, 그리고 순간의 몰입. 이 모든 것들을 바다에게서 배우고 있다.

캠핑 또한 그런 연장선이었다. 평창의 첩첩산중 목장에서 비에 젖은 숲을 바라보며 아득함을 느낄 때, 새벽녘 귀가 터질 정도로 지저귀는 새 소리에 눈을 뜰 때, 친구들과 맛있는 음식을 만들고 모닥불 앞에서 술잔을 기울일 때. 도시에서는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장면들이 마음속에 차곡차곡 쌓인다.

이 전시는 내가 자연 속에서 경험한 자유로움과 따뜻한 유대의 시간을 담은 기록이다. 동물적 본능이 깨어나 거침없이 물살을 가르는 서퍼들, 거센 파도에 휘말려도 훌훌 털고 다시 도전하는 용기, 바다와 숲에서 좋아하는 사람들과 함께한 순간들, 그리고 피식 웃음이 새어 나오는 유쾌한 감정들을 그려보았다.

파도를 그리는 일은 단순한 재현이 아니다. 매 순간 달라지는 물결의 형태와 질감은 고정되지 않는다. 그래서 나는 파도를 감정처럼 표현하고자 했다. 묵직하고, 반짝이며, 때로는 흐릿하게 다가오는 마음처럼. 자료를 모으고 스케치를 한 뒤, 도자기와 캔버스 위에 색을 쌓아가며 바다의 리듬을 화면에 옮겼다.

이 전시를 통해, 바쁜 도시의 속도에 지친 사람들이 잠시 숨을 돌렸으면 좋겠다. 문득 바다나 숲이 그리워지고, 주말의 햇살이 기다려지는 기분이 들었으면 한다.















문요 Moonyo Lee  @moonyo.book
카이스트에서 산업디자인을 공부하면서 학사와 석사 과정을 마쳤고, 기업에서 디자이너로 일했다. 어릴 적부터 좋아하던 그림을 잘 그리고 싶어 SI그림책학교에서 그림과 스토리텔링을 배웠다. 지금은 개인 작업을 하며 XR(확장현실) 프로젝트도 진행하고 있다. 조금은 허술하고 자유로운, 감정이 살아있는 그림을 그리고 싶다.

-2020 볼로냐 국제아동 도서전 올해의 일러스트레이터
-2020 상하이 국제아동 도서전 Golden Pinwheel Competition,
Finalist
-2023 볼로냐 국제아동 도서전 Italian Excellence: Illustrations for  Italo Calvino, Winner
-2024 파리 New Images Festival, XR Development Market  Selected
-2025 파리 New Images Festival, XR Distribution Market  Selected

On the Wave 파도 위에서
moonyolee.com
-

<On the Wave>
MoonYo


I enjoy the stillness of keeping my hand in the water while waiting for a wave. When a swell begins from the distant sea, I can feel a change in the density of the water against my skin. A heavy, cool mass pushes against my palm and slips through my fingers. That’s when I sense it—a wave is coming. Like a promise, a long and distinct line approaches the horizon. A wave that has traveled thousands of kilometers under the scorching sun of the Pacific finally arrives, reaching a small human floating in the sea of Yangyang.

Sometimes, the waves are too big and I run away in fear. Other times, I let a perfect opportunity slip by, unable to seize the moment. But eventually, a wave comes that matches me—just the right height and strength. I turn quickly, paddle toward the shore, and as the wave lifts my board, I rise instinctively. Then I move forward with the wave, riding it until the sharp water breaks into white foam.

After riding a wave, I find myself transformed into a child again. Like the me who once swung hard on a playground swing at dusk, sweating with joy. A moment arrives when I forget who I am or what I’ve been worrying about.

This experience forms the foundation of my art and storytelling. The communion with nature, the patience in waiting, the instinctive motion, and the deep immersion in the moment—I’ve learned all of these from the sea.

Camping is an extension of that. Watching the rain-soaked forest from a secluded mountain ranch in Pyeongchang, waking at dawn to birdsong so loud it almost bursts my ears, cooking delicious food with friends, sharing drinks around a campfire—these are scenes not easily found in the city, but they accumulate quietly in my memory.

This exhibition is a record of the freedom and warm connection I’ve experienced in nature. Surfers cutting through the water with awakened instincts, the courage to brush off a wipeout and try again, shared moments with loved ones by the ocean and in the forest, and the light-hearted feelings that bring a spontaneous smile—I’ve tried to capture them all.

To paint waves is not merely to reproduce them. The ever-changing shapes and textures of water resist being fixed in form. So I tried to express waves as if they were emotions—heavy, sparkling, and sometimes vague, like a feeling that comes and goes. After gathering reference materials and sketching, I built up color on ceramics and canvas, translating the rhythm of the sea into the surface.

Through this exhibition, I hope people weary of the fast pace of urban life can take a moment to breathe. That they might suddenly miss the sea or the forest, and find themselves looking forward to the sunlight of a weekend.


문요 Moonyo Lee  @moonyo.book
I studied Industrial Design at KAIST, where I completed both my bachelor's and master's degrees, and worked as a designer in the industry. Wanting to draw better and reconnect with my childhood love for illustration, I studied drawing and storytelling at SI Picture Book School. Now, I focus on my personal work while also working on XR (Extended Reality) projects. I aim to create drawings that feel a little loose and free—filled with emotion and life.

-2020 Bologna Children’s Book Fair, Illustrator of the Year
-2020 Shanghai International Children’s Book Fair, Golden Pinwheel Competition, Finalist
-2023 Bologna Children’s Book Fair, Italian Excellence: Illustrations for Italo Calvino, Winner
-2024 Paris NewImages Festival, XR Development Market, Selected
-2025 Paris NewImages Festival, XR Distribution Market, Selected

On the Wave
moonyolee.com
2025/06/14 - 2025/06/21



-


소연과 준우, 준우와 소연 두 사람의 성장을 담은 이 전시는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기존 결혼식의 틀을 깨고 새로운 결혼식의 형태를 만든다.

둘의 성장과 일상을 함께 해온 이들은 그때 그 시절의 추억과둘의 이야기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을 것이며 처음 전시를 접한 이들에게는 새로운 형태의 결혼식에 대한 체험을 제공한다.

이 성장 이야기는 두 사람의 이야기가 될 수도 있고 누군가의 이야기가 될 수도 있다.한 사람이 성장하여 가족을 이루기까지의 여정에 얼마나 많은 이야기가 존재할까.

-


This exhibition, which traces the growth of Soyeon and Junwoo—Junwoo and Soyeon—breaks away from the traditional framework of a conventional wedding, creating a new form of celebration.

For those who have shared in their everyday lives and growth, it offers a chance to revisit memories and experience their story indirectly. For first-time visitors, it presents a new way of encountering what a wedding can be.

This story of growth could belong to the two of them—or to anyone. How many stories must there be in the journey of a person growing and eventually forming a family?

2025/06/07 - 2025/06/08


-


<LE CAT MEETS BUKCHON>
필립 그뤽


르깟을 다시 한국에서 선보일 수 있어 매우 기대됩니다. 이번 전시는 서울 북촌의 중심, 공간썬더에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1983년 벨기에 일간지《르 수아르》에서 처음 등장한 이 통통한 고양이는 40년 동안 24권의 베스트셀러 책(1,500 만 부 판매)과 15 종류의 다른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전 세계 독자에게 사랑받아 왔습니다. 특히 3년 전부터는 한국어판도 출간되어, 르깟 특유의 재치 있고 철학적인 유머가 국경을 넘어 이렇게 쉽게 전해진다는 사실이 작가로서도 놀랍고 즐겁습니다. 1991년부터는 회화와 브론즈 조각으로도 확장되었고, 2021년 파리 샹젤리제에서 시작된 야외 전시 《Le Cat Walks》는 보르도, 캉, 몽트뢰, 모나코, 제네바, 브뤼셀을 순회하며 수백만 관람객을 맞았습니다.

서울 전시는 특히 뜻깊습니다. 판화와 더불어 르깟의 유쾌함을 담은 오브제까지 국내 최초로 공개되며, 2027년 브뤼셀 개관 예정인 《Le Cat and Cartoon Museum》으로 가는 여정의 중요한 이정표이기 때문입니다. 아직 한국을 직접 방문하진 못했지만, 브뤼셀 작업실을 찾은 한국 관람객들 덕분에 한국에 대한 기대가 큽니다. 르깟이 여러분께 작은 웃음과 소박한 꿈을 선물하길 바랍니다.

필립 그뤽

주최 재주스튜디오 I 꽃피는 몸 프로젝트
협력 주한벨기에 대사관


-


<LE CAT MEETS BUKCHON>
Philippe Geluck


It is a great joy to bring Le Cat back to Korea—this  time to Space Thunder in the heart of Bukchon,  Seoul.

I first drew this curious, chubby feline for the Belgian  daily Le Soir in 1983. Forty years, 24 bestselling  albums (15 million copies sold), and 15 languages  later—including Korean since three years ago—I’m  still delighted, and a little amused, that his quirky,  philosophical humor crosses cultures so easily. In  1991 I began painting and sculpting Le Cat, and a  career highlight was ‘Le Cat Walks’, the monumental  outdoor show on the Champs-Élysées in 2021 that  later toured Bordeaux, Caen, Montreux, Monaco,  Geneva, and Brussels, welcoming millions of visitors.

This Seoul exhibition is special: alongside fine-art  prints it unveils playful Le Cat objets—small pieces  of quirkiness and poetry—and looks ahead to the  opening of the ‘Le Cat and Cartoon Museum’ in  Brussels in 2027. Although I have yet to set foot in  Korea, the Korean visitors I’ve welcomed to my  Brussels studio have left a vivid, warm impression,  and I look forward to discovering your country soon.  I hope my Cat makes you laugh, think, and  dream—just a little.

Philippe Geluck
Host JEJOO Studio I Blooming Body Project
Cooperation Embassy of Belgium in South Korea
2025/05/27 - 2025/06/04


-


꽃, 헤테로토피아
이석준 개인전


꽃의 기의와 기표:
이석준의 버려진 화훼단지 사진들


이라크의 쿠르디스탄 지역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 시신의 복원 모형 앞에는 꽃과 약초 씨앗들이 놓여있다. 8~6만 년 전 생존한 것으로 추정되는 시신의 모형은 네안데르탈인이 비록 고도의 상징적 지능을 갖지 못했고 천국이나 내세까지 생각하지 못했더라도, ‘죽는다는 것’의 의미를 이해하고 타인의 죽음에 어떤 감정을 표현했음을 짐작케 한다. 죽음 앞에 헌화하는 행위는 숭고함과 슬픔 이전에 자연스러운 본능의 발로처럼 여겨진다.

우리말 '꽃'은 글자 모양도 꽃을 닮았다. 기호의 뜻 부분, 즉 가리키는 것의 의미를 담은 기의(記意, signifié)와 그것의 표기 부분인 기표(記, signi- fiant)를 분리해 사고하기도 하지만, 우리 말 '꽃'이란 글자는 그 기표조차 가리키는 대상을 닮은 것처럼 보인다. 꽃이 지닌 기의는 거기서 더 만발해져 다양한 상징들로 피어난다. 고백하는 마음을 숨기기도 하고 감사나 축하의 뜻을 표현하기도 하며, 무엇보다 죽음과 애도를 대신한다. 꽃만큼 많은 일을 암시하거나 수행하는 사물이 세상에 또 있을까 싶다. 망자 앞에 놓인 꽃은, 추하고 냄새나는 것이 죽음이기에 그것을 화사함과 향기로 감추겠다는 저의로도 읽힌다. 그러나 꽃 역시 죽음을 맞는다.

줄기와 꽃대궁을 떠난 꽃의 생명은 망자에 대한 슬픔의 감정보다도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명복과 영생을 기원하는 자리에 쉽게 시드는 꽃은 어쩐지 적절하지 않아 보인다. 그래서 사피엔스들은 조화(造花)를 만들어낸 것 일까. 그러나 조화는 처음부터 생명을 부여받지 못한 죽은 꽃이다.

여기에 역설이 있다. 한겨울 눈밭 위의 꽃을 발견하고 그것이 곧 조화였음을 알게 된 사진가 이석준은 조화만 여기저기 흩어진 폐허가 된 화훼단지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장례식장과 묘택을 꾸며주는 조화를 만들던 공간도 재개발을 앞두고 죽거나 죽어가는 공간으로 변모해 있었다. 도시 확장으로 공동화가 이루어진 폐허를 기억하고 애도하듯 거기 조화들만 버려져 있었다. 삶과 죽음의 역설이 묘하게 섞여 있는 공간. 생화보다 더 생생하던 조화 화환들이 가득했던 좋았던 시절이 거기 있었을 터다. 우리 곁에 아직 살아있는 것만 같은 망자들이 그러하듯, 현전(現前 )하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부재하지도 않는 무엇이 이 공간에 감지된다. 누구나 보고 있지만 아무나 볼 수 없는 것, 보이지 않지만 거기 존재하는 듯한 어떤 것을 카메라에 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닌데 어떤 사진가들은 그런 일을 한다.

과천과 용인 등지의 버려진 화훼단지를 이석준은 ‘증발의 공간(space of evaporation)'이라 명명했다. 프랑스의 철학자 미셸 푸코는 이런 공간에 ‘ 헤테로토피아(hétérotopie)'라는 이름을 붙였으리라. 묘지나 감호소, 사창가처럼 우리가 사는 공간에 신화적이고 실제적인 이의제기나 질문을 던지는 공간들을 그가 헤테로토피아라 불렀듯이. 확실히 이석준의 카메라가 탐색한 폐 화훼단지는, 그것이 무엇인지 명확하지 않지만, 우리에게 모종의 질문을 던진다.

역설적으로, 이 폐허 속에 유일하게 살아 꿈틀거리는 것은 제멋대로 피어난 야생화들이다. 네안데르탈인들이라면 몰라도 우리는 야생화를 망자의 가는 길에 헌화하지 않는다. 꽃에도 생화, 조화, 야생화의 계급이 나뉘어 있는 것만 같다. 도시 인근 공동묘지의 가득한 묘역에도 빈부에 따라 꽃의 종류나 화려함이 다른 것처럼. 조화와 화환이 돈벌이가 되던 사라진 화훼 단지의 시간과 공간을 애도하듯 오늘 거기 야생화들이 피어있다. 활짝.


이희인 / 작가, 시각예술 연구자







이석준

경기대학교 평생교육원 사진아카데미 고급과정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프라임칼리지 사진창작 중급과정을 수료하였고, 현재 사진집단 꿈꽃팩토리 멤버이다. 개인전은 2022년 '해창-시간 속에 남겨진 포구' 행궁재, 단체전은 2019년 '흔적' 예술공간 봄, 2020년 '6인6색전' 예술공간 봄, 2021년 '수원화성 시간여행' 예술공간 봄, 2022년 '포구기행' 복합문화공간 행궁재, 2023년 '숨 깃든 숲' 류가헌갤러리, 2023년 '전주국제사진제' 전북예술회관, 2024년 '좁은 골목길 커다란 사진전' 을지로 골목, 2025년 '천개의 카메라-전북유네스코유산' 갤러리 AP-9, 2025년 '전주국제사진제 전주향교 등을 열었다.

기획 꿈꽃팩토리 후원 후지필름 코리아


-


Flowers, The Heterotopia
Lee Seokjoon


The Signification and Signifier of Flowers:
Lee Seokjoon's Photographs of Abandoned Flower Farms


A reconstruction of a Neanderthal body found in the Kurdistan region of Iraq is placed in front of flowers and herb seeds. The model of the body, which is estimated to have lived between 60,000 and 80,000 years ago, suggests that even though Neander- thals may not have had advanced symbolic intelligence and could not have conceived of an afterlife or heaven, they still understood the meaning of death and expressed emotions regarding the death of others. The act of offering flowers before death seems to be more of a natural instinct than an expression of nobility or sadness.

The word "flower" in our language resembles a flower itself. Al- though we may separate the signified (the meaning that the symbol refers to) from the signifier (the form or representation of the symbol) when thinking about signs, the character for "flower" in our language seems to resemble the very thing it refers to. The meaning of flowers, or their signification, blooms into various sym- bols. It can hide confessions, express gratitude or congratulations, and most of all, it substitutes for death and mourning. Is there any other object in the world that suggests or performs as much as flowers?

The flowers placed before the deceased are, in a sense, a way of concealing the unpleasantness and odor of death with their beauty and fragrance. However, flowers too face death. The life of a flower, once separated from its stem and flowerhead, lasts no longer than the feeling of sorrow for the deceased. Flowers, which easily wilt in places where prayers for peace and eternal life are of- fered, seem somewhat inappropriate. Is that why Homo sapiens created artificial flowers? But artificial flowers, from the very be- ginning, are lifeless, dead flowers. Therein lies a paradox.

Lee Seokjoon named the abandoned flower farms in places like Gwacheon and Yongin as the "space of evaporation." French phi- losopher Michel Foucault would have likely called these spaces "heterotopias." Just as he labeled spaces like cemeteries, prisons, and brothels as heterotopias, which challenge or question our mythological and real-world frameworks, it is clear that thecamera of Lee Seokjoon explores the abandoned flower farms, which may not have a clear definition but undeniably pose certain questions to us.

Paradoxically, the only thing still alive in these ruins are the wild- flowers that bloom in their own way. While Neanderthals may not have placed wildflowers on the path of the deceased, we do not offer wildflowers in this way. Flowers themselves seem to be clas- sified into categories of real flowers, artificial flowers, and wildflowers. Just as the types and beauty of flowers in a cemetery vary according to wealth, the wildflowers that bloom today in the ruins of the flower industry, once profitable through artificial flowers and wreaths, are now mourning that lost time and space. They bloom, fully alive.


Lee Heein / Auther, Visual Arts Researcher


Lee Seokjoon

Lee Seokjoon completed the Advanced Course at Kyonggi University’s Lifelong Education Center Photo Academy and the Intermediate Course in Creative Photography at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s PRIME College. He is currently a member of the photography group Dream Flower Factory.
His solo exhibition includes Hae-chang: A Port Left Behind in Time (2022, Haenggungjae).
His group exhibitions include Traces (2019, Art Space Bom), 6 People, 6 Colors (2020, Art Space Bom), Time Travel at Suwon Hwaseong (2021, Art Space Bom), Port Travelogue (2022, Haenggungjae Cultural Complex), Breath of the Forest (2023, Ryugaheon Gallery), Jeonju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2023, Jeonbuk Arts Center), Big Photo Exhibition in a Narrow Alley (2024, Euljiro Alley), A Thousand Cameras – Jeonbuk UNESCO Heritage (2025, Gallery AP-9), and Jeonju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2025, Jeonju Hyanggyo).

Planned by: Dream Flower Factory
Sponsored by: Fujifilm Korea

2025/05/17 - 2025/05/25


-


사이의 삶 - 고양이의 정원
정영희 개인전



영희와 고양이 마을 이야기
글 : 최연하 (미술비평)


정영희 작가는 자신에게 삶의 기쁨을 안겨준 고양이들을 향해 고마움과 애도의 사진-일기를 쓴다. 2024년 3월 23일에 시작한 정영희의 일기는 1년 넘게 이어지는데, 주로 고양이들에게 안부를 묻는 일과 고양이와 함께 지내는 사람들의 행위가 다채롭게 펼쳐지고 있다.

턱시도 고양이 ‘반망이’와 새끼 고양이 ‘올망이’와 눈이 마주치는 사건이 계기가 되어, 정영희는 고양이들을 보살피며 사진 촬영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점차 고양이의 이웃과 친구들까지, 고양이들과의 인연도 넓어진다. 고양이 마을에 사는 사람들과도 스스럼없이 인사를 나누며, 고양이를 중심으로 마을 생태계가 다정하고 다감하게 형성된다. 모두 고양이 덕분이었다.

합창단원으로 활동하는 멋쟁이 할머니 김미진, 휴일마다 고양이 곁에 머물기 위해 돗자리와 노트북을 들고 나오는 ‘빌’의 아빠, 오후 5시 무렵에 ‘빌’을 쓰다듬어주는 109동에 사는 여고생, 생명공학을 전공하는 대학생, 마음씨 착한 아가씨, 상봉초등학교 6학년 임해담, ‘요미’ 엄마, 이랑윤 학생 등 고양이 마을 사람들은 고양이의 부드러운 털과 유연한 자태를 닮아 가고 있었다.

고양이 마을에서 대장은 ‘젠틀이’다. 젠틀이는 ‘올망이’, ‘반망이’와 늘 함께 다닌다. 썬큰정원의 ‘브리’는 초록색 눈에 고등어 무늬 옷을 입고 있으며, 붉은색에 가까운 주황색 코를 가진 멋진 고양이다. 자동차 배관에서 울고 있었던 ‘별이’, 다람쥐를 닮은 ‘다람이’, 회색 등에 진하고 둥근 점이 있는 ‘아름이’, 모카와 체다, 오디와 다래, 애교, 셰도, 코코, 카오, 모자, 치즈, 앵두, 머루, 버찌, 라라, 오봉이… 모두 고양이 마을의 주인공들로 정영희의 사진 속으로 들어왔다.

흥미로운 것은, 이 마을의 고양이들은 모두 이름이 있는데, 사람들은 대체로 이름 없이 등장한다는 점이다. 사진 속 고양이들이 모두 제 이름이 있는 것은 ‘고양이과 고양이속’으로 환원할 수 없는 각각의 특별한 세계 때문일 것이다. 그에 비해 인간적 관점이 다분한 ‘캣맘/캣대디’라는 호칭은 특별함보다 보편의 따뜻한 정서가 앞선다.

고양이에게 사람은 어떻게 보일까? 다정하고 귀여운 듯, 뚫어지게 사람을 바라보는 고양이의 응시는 애틋하고 섬뜩하고 낯설다. 고양이에게 마음을 들킨 것 같아서, 그리고 이들은 자신과 인간의 관계를 이미 오래전부터 성찰했을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정영희가 사람을 응시하는 고양이의 눈빛에 초점을 맞춘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인간의 이해 바깥에서 도저하게 펼쳐질 고양이의 세계를 그들의 눈빛을 통해 드러내려 한 것이다.

아파트 단지 한 가운데 ‘고양이 정원’에서 각자의 삶을 꾸려가고 있을 고양이들의 모습이 눈에 선하다. 척박하고 고단할 도심 고양이의 삶에 비해, 그곳은 부드러운 야생 자연과 따뜻한 사람의 마음이 고양이를 보살펴줄 것이다. 어느 햇살 좋은 봄날 오후, 여리고 부드러운 연두잎 사이로 새끼 고양이들이 요정처럼 가볍게 뛰어올라 세상을 눈부시게 밝힌다.

정영희는 고양이의 일상으로 들어가 천천히, 민첩하게 사진을 촬영하고 글로 기록해 이 멋진 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정영희가 기록하지 않았다면 몰랐을 세계다. ‘영희와 고양이 마을의 이야기’가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궁금하고 기대된다.




-

LIves In - Betwee: a Garden of Cats
Jung Younghee


Younghee and the Story of the Cat Village
Text by Yeon-ha Choi (Art Critic)

Artist Younghee Jung writes a photo-diary of gratitude and mourning for the cats who have brought joy into her life. Her diary, which began on March 23, 2024, has continued for over a year, vividly documenting greetings to the cats and the diverse activities of the people who live alongside them. A pivotal moment came when she locked eyes with tuxedo cat “Banmang” and kittens “Olmang” and “Noon-ee.” From then on, she began caring for the cats and seriously photographing them. Over time, her bond expanded to include the cats’ neighbors and friends, deepening her ties within the feline community.

As she naturally befriended the residents of the Cat Village, a gentle and affectionate ecosystem formed around the cats. It was all thanks to them. Among the villagers are the stylish grandmother Kim Mijin, a choir member; “Bill’s dad,” who brings a mat and laptop to sit near the cats on holidays; a high school girl from building 109 who gently strokes “Bill” around 5 p.m.; a university student majoring in biotechnology; a kind-hearted young woman; Haedam Lim, a 6th grader at Sangbong Elementary; “Yomi’s mom”; and student Rangyoon Lee. These people all seemed to grow more and more like the soft fur and graceful presence of the cats they cared for.

The leader of the Cat Village is “Gentle,” who is always seen with Olmang and Banmang. “Bri,” who lives in the sunken garden, has green eyes and a mackerel-tabby coat with a reddish-orange nose—such a beautiful cat. Then there’s “Byul-ee,” once heard crying from a car exhaust pipe; “Daramee,” who resembles a squirrel; “Areum-ee,” with grey fur and bold, round spots on her back; and others like Mocha, Cheddar, Odi, Darlae, Aegyo, Shadow, Coco, Kao, Moja, Cheese, Cherry, Meru, Beorjji, Lala, and Obong-ee… all these cats became the protagonists in Jung’s photography.

Interestingly, while all the cats have names, the people in the village are mostly referred to without them. This is because the cats, unlike being simply classified as "Felidae" or "Felis," each represent a unique and irreplaceable world. In contrast, the human-centric terms “cat mom” or “cat daddy” evoke a warm but more generalized affection. One wonders how cats see us. Their gaze—sweet yet intense, familiar yet alien—feels as though they’ve caught on to our emotions. It’s as if they’ve been contemplating their relationship with humans far longer than we realize. That’s why Jung focuses on the cats’ eyes, attempting to capture their world—a realm that unfolds far beyond human comprehension—through their mysterious gaze.

You can almost picture the cats in the “Cat Garden,” nestled within an apartment complex, each living their own life. Compared to the harsh and grueling existence of city cats, this village offers a kind of soft wilderness and warm human care. On a sunny spring afternoon, kitten fairies leap playfully through tender green leaves, lighting up the world. Jung, gently and swiftly entering the cats’ daily lives, captures these moments with her camera and records them in writing—revealing a marvelous world we might otherwise never have known.

We look forward with curiosity and anticipation to how “Younghee and the Story of the Cat Village” will continue to unfold.

2025/04/19 - 2025/04/27


-



웰컴–굿바이

아타셰 데 자르(Attaché des Arts)의 게잠트쿤스트베르크 (Gesamtkunstwerk)

"웰컴–굿바이"는 긴 여정 끝에 마주하는 한 순간에 대한 탐구입니다.
누군가는 머물고 누군가는 떠나는 교차의 그 순간.

이 순간은 단순한 환영도, 작별도 아닙니다.
슬픔이나 미움, 질투, 부정적인 감정이 아닌, 미소와 포옹, 혹은 몸짓이나 언어로 나누는 평화롭고 기쁜 작별 인사의 시간입니다.

이번 전시를 통해 아타셰 데 자르는 한국에서의 여정을 마무리하며 친구들, 동료들, 예술을 사랑하는 이들과 함께 그 순간을 나누고자 합니다.
전시된 작품은 완결된 결과물이 아닌 인간의 경험과 상상, 고통과 사랑이 담긴 일련의 과정입니다. 이것은 인공지능이 흉내낼 수 없는, 진정한 창작의 방식입니다.

이번 ‘게잠트쿤스트베르크’는 설치, 사진, 음악/사운드, 퍼포먼스를 통해 그러한 순간들을 보여주고 느끼게 합니다.

아타셰 데 자르(Attaché des Arts)는 독일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디르크 토르바르트 (Dirk Thorwarth)의 아티스트 활동명입니다.

프랑크푸르트에서 태어나 35년간 살았고, 경제학과 정치학을 공부한 뒤 금융, 컴퓨터, 통신 산업에서 일했습니다. 이후 베를린으로 이주해 기획자, 저널리스트로 활동했으며,  예술가로써 지난 9년간 한국을 오가며 작업을 이어왔고, 퍼포먼스와 개념미술을 기반으로 작업하고 있습니다.




-


Welcome-Goodbye

"Gesamtkunstwerk" by Attaché des Arts

The title "Welcome-Goodbye" is the theme for the research of a moment after a long journey.
It is the moment when i.e. one leaves a place an oned person is staying another is leaving.

How can this moment be expressed through emotion in art?
This moment is neither a farewell nor a warm welcome.

It should not be a moment of suffering, hatred, jealousy, negative vibes, or sadness. Rather, it should be a moment of giving or receiving a smile, a hug, or saying goodbye with words or bodycount. A good moment to welcome a farewell with happiness and joy in peace.

Attaché des Arts will celebrate this moment of his journey to and in Korea with friends, colleagues, and art lovers. The presented work is not yet finished. It is a process in which human experiences, visions, pain, and love—the most important insights—are incorporated.  This is different to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can neither achieve nor express authentici creativity.
This Gesamtkunstwerk conveys a sense of that. You can see and experience moments through installations, photos, music/sound, and live action.

Attaché des Arts, alias Dirk Thorwarth, is an artist based in Berlin.

He was born in Frankfurt am Main and lived there for 35 years. He studied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and worked in the finance, computer, and telecommunications business before moving to Berlin to work and establish himself as an organizer, journalist, and ultimately as an artist in the cultural and art world. For the past nine years, he has lived frequently in Korea. His work is influenced by performance and conceptual art.
2025/04/12 - 2025/04/16



-

이중기호

박헤빈 이현민 정은지 최중훈 최현아



공간썬더의 첫 번째 그룹전 《이중기호》는 박혜빈, 이현민, 정은지, 최중훈, 최현아 다섯 작가의 시선을 통해 일상 속 상징들이 예술로 확장되는 과정을 선보인다. 《이중기호》라는 제목이 암시하듯, 이번 전시는 한 기호가 동시에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을 탐구한다. 표면에 드러난 의미와 그 이면에 숨어 있는 또 다른 의미가 공존할 가능성을 열어두며, 기호가 단순한 상징을 넘어 ‘선호하다’라는 행위의 의미로 확장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참여 작가들은 드로잉, 만화, 설치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넘나들며, 기호가 지닌 여러 레이어를 섬세하게 표현한다. 그들의 작업은 구체적인 형태로 의미를 명확히 드러내기도 하고, 때로는 서사를 추상적으로 풀어내며 관객 각자가 새로운 해석을 시도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긴다.

이번 전시는 관객에게 익숙한 일상적 상징들이 새로운 시선 아래 재조명되는 경험을 선사하며, 다의적 기호의 확장성과 상상력을 일깨우고자 한다. 작품과의 만남을 통해 관람객은 자신만의 시각과 경험이 녹아든 다층적 의미의 세계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최현아



-

Bi -symbolic

Park Hye-bin, Lee Hyun-min, Jung Eun-ji, Choi Jung-hoon, Choi Hyun-a


Space Thunder’s first group exhibition, Bi-Symbolic, presents the perspectives of five artists — Park Hye-bin, Lee Hyun-min, Jung Eun-ji, Choi Jung-hoon, and Choi Hyun-a — to explore how everyday symbols expand into the realm of art. As the title Bi-Symbolic suggests, this exhibition delves into the possibility that a single symbol can carry two or more meanings simultaneously. It opens up the coexistence of surface meanings and hidden layers beneath, revealing how a symbol can extend beyond mere representation into an act of “favoring” or “preferring.”

Through diverse media such as drawing, comics, and installation, the participating artists traverse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delicately expressing the multiple layers of meaning inherent in symbols. Their works at times clearly articulate meaning through concrete forms, while at other times, they unfold narratives in an abstract way, leaving room for each viewer to engage in personal interpretation.

This exhibition offers visitors a re-illumination of familiar everyday symbols from a fresh perspective, aiming to awaken the imagination and expansiveness of polysemic symbols. Through their encounter with the artworks, viewers will discover a multilayered world of meaning shaped by their own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Choi Hyun-a
2025/03/18 – 2025/03/23

-
From Mexico

김남식



여행, 장소, 추억, 그리고 나의 춤!

나는 춤을 추면서 삶의 빛을 찾으려 했다.

처음 Mexico와 마주했을 때 나는 알지 못했다.

이 땅이 나에게 또 다른 나의 마음의 나라가 될것이라고.

이곳에서 만난 사람들이 나의 춤을 다시 태어나게할 줄을

스무 번이나 그 나의 마음의 나라 땅을 밟았다. 그리고 그곳 기억들이 내 몸에, 내 춤에 새겨졌다. Octavio Paz의 시에 나는 춤을 입혔었다.

프리다 칼로와 디에고 리베라의 붓질에서 고통도 민중도 사랑으로 껴안는 이치를 느꼈다.

영화제작자 길예르모 델 토로에게서 현실을 뛰어넘는 환상적 상상력을 엿봤고, 또 다른 멕시코의 영화 감독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르뚜의 강렬한 서사에서 인간의 깊이를 마주했었다. 이들만이 나를 사로잡은 것은 아니다.

루피노 타마요의 색채에서 나는 영혼과 감각의 울림을 들었고

다비드 씨께이로의 벽화에서는 현실에 저항하는 자유의 몸짓을 봤다.

춤, 호세 리몬의 춤에서 나는 내 자신을 발견하는 것을 느꼈다.

그는 인간 내면을 깊이 탐구했고 그가 내는 감정에서 나는 새로운 움직임을 배웠다.

그의 작품 <무어의 파반드>에서의 드라마틱한 표현은 내 몸짓의 결을 두텁게, 그가 전통과 현대를 잇는 시도가 춤추는 남자.

나의 여정의 길잡이가 되었다.

나는 왜 춤을 추는가?

몸 언어는 결코 거짓이 아니기 때문이다.

나의 그것이 진실이어야 하고 진솔한 마음의소리를 담아야 한다는 것을 나는 멕시코를 통해 배웠다.

이 전시, 이건 나의 춤꾼으로서의 여정이자 고백이다.

멕시코라는 땅과 그 문화와 내가 끊임 없이 나누는

대화의 거울이다.

삶의 빛을 찾아나선 춤, 멕시코로 가는 길.

그래서 나는 오늘도 전시로 춤으로 이 자리에 나를 내보인다.

김남식(꽃 피는 몸 프로젝트 예술감독 )



-
From Mexico

Kim Naamseek



Travel, places, memories, and my dance!

I tried to find the light of life through my dance. When I first encountered Mexico, I did not know that this land would become the country of my heart. I did not knowthat the people I met here would bring my dance back to life.

I have stepped on this land twenty times, and the memories from there are etched into my body and my dance. I had clothed the poetry of Octavio Paz with my dance. From the brushstrokes of Frida Kahlo and Diego Rivera, I felt the wisdom of embracing pain, the people, and love.

I caught a glimpse of fantastic imagination that transcends reality from filmmaker Guillermo del Toro, and I faced the depth of humanity in the intense narratives of another Mexican filmmaker, Alejandro González Iñárritu. But it was not just these people who captivated me.

In the colors of Rufino Tamayo, I heard the resonance of the soul and senses, and in the murals of David Siqueiros, I saw the gestures of freedom resisting reality. In the dance of José Limón, I felt the discov- ery of myself. He deeply explored the human inner world, and through the emotions he expressed, I learned new movements.

The dramatic expressions in his work The Moor's Pavane thickened the texture of my gestures. His attempt to bridge tradition and modernity made him a dancing man, a guide on my journey.

Why do I dance?
Because the body language is never a lie. I learned through Mexico that mine must be truthful and carry the honest voice of my heart. This exhibition is a confession and a journey as a dancer. It is the mirror of the constant dialogue I have with the land and culture of Mexico.

The dance I embarked on to find the light of life,
the road to Mexico.

So, today, through this exhibition,
I present myself here with my dance.








Kim Naamseek, Blooming Body Project Director
2025/03/18 – 2025/03/23

-


이식된 광합성

식물적 사유가 빛나는 엄기옥의 사진


사진 작품이 탄생하는 곳은 감각적 개별성의 세계이다. 세계-대상(자연, 사물, 장소 등 비인간을 비롯해 소위 피사제라 불리는 모든 것)과 만나 사진 인연을 맺으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가 된다. 찍히고 찍는, 즉 피사체와 주체로서의 위지가 해체되고 상호 관계성을 형성하는 것, 나는 그것이 사진의 유정한 힘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모든 사진가와 피사체와의 관계가 이러한 힘을 생산하는 것은 아니다. 주상적 보편의 세계에서는 좀체 형성될 수 없는 이 힘은 작가의 구체적인 경험 속에서 비로소 획득되는 것으로, 대개 비본질적이고 우연적인 형태를 이룬다.

엄기옥의 사진 작품이 그러하다. 무한히 펼쳐진 삶의 시공에서 작가가 조우한 사물들이 사진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한껏 부각하고 있다. 타원형의, 구멍이 뚫리고, 벌레가 감아 먹은 나뭇잎 한 장 한 장을 유심히 살펴본다. 땅에 떨어진 나뭇잎을 주워 촬영한 이 사진들은 '낙엽 포트레이트’로, 잎맥을 통해 나뭇잎의 네트워크가 선명하게 드러난댜 이파리가 관계 맺은 나무와 뿌리, 하늘과 바람과 별 .. 의 운행이 보인댜 소멸 직전에 촬영한 낙엽 포트레이트에 이어 엄기옥은 땅에 바짝 엎드려, 땅에서 가장 가까운 식물들을 촬영했다.

여름날 '달개비'가 이토록 우아했던가. '명아주’를 가까이에서 바라본
건 저음이다. 엄기옥의 카메라가 다가간 곳은 집 근저 산책길에 자라는식물들이다. 낱낱의 식물이 지닌 힘을강조하기 위해 엄기옥은 사진관에서 인물 사진을 촬영할 때 쓰이는 배경지를 생각했을 것이다. 식물이 바라보는 하늘을 배경 삼아 작고 낮은 식물의 위용을 드러내려는 의도이다. 사람의 눈높이에서는 절대로 볼 수 없는, 바로 땅을 기어다니는 벌레의 눈으로 식물과 마주하기!

엄기옥의 사진에서 푸르스름한 기운이 감도는 것이 있다. 바로 '블루 플래닛' 지구에 떨어진 땅의 별들을 형상화한 것이다. 정확히는 인위에 의해 잘려 나간 나뭇가지에서 땅으로 떨어진 나뭇잎들이다. 자신이 살았던 곳, 푸른 하늘을 꿈꾸는 나뭇잎들이 시아노타입(cya­notype) 사진이 되어 땅에 총총히 박혔다. 나뭇잎이 직접 접족해 만든 형상이어서 이 사진은 실제의 흔적으로, 세계-나뭇잎-작가를 광합(photosynthesis) 작용을 통해 연결하고 있다. 생명을 다한 나뭇잎이 사진 속에서 새롭게 광합성을 하며 조(비) 현실적인 아름다움으로 현현하고 있다.

식물적 사유가 빚나는 엄기옥의 사진 작품은 세계와 공생하려는 순연(純然)한 의지의 산물이다. 눈을 감아야 비로소 보이는 세계와 낮은 곳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들, 무엇으로도 대제 할 수 없는 특별한 가지가 따뜻하고 평화롭게 공존하고 있다• 사진가는 빚에 감응하는 존재들이다. 사진을 찍는 이와 찍히는 이가 모두 빚에 감응할 때 사진이 더욱 빚난다. 우리 주변에 있지만 무심히 지나지곤 했던 식물이 모두 주인공이 된 엄기옥의 사진 작품에서, 광합성으로 화한 생태계의 조화를본다. 

최연하(미술비평가)

기획 꿈꽂팩토리 후원 후지필름 코리아




-


Transplanted Photosynthesis

The Radiance of Vegetal Thinking in Eom Ki Ock's Photography

In the infinite expanse of time and space, objects encountered by the artist assert their presence within the frame. One by one, she examines elliptical, perforated, insect eaten leaves with meticulous attention. The photographs, taken of fallen leaves re­trieved from the ground, transform into 'Leaf Portraits'. Through their intricate venation, the network of the leaf becomes distinct­ly visible, revealing its intimate connection with the tree it once belonged to, its roots, the sky, the wind, and even the celestial movements of the stars. Following these leaf portraits, captured just before their complete decay, Eom Ki Ock then turned her gaze toward the plants growing closest to the earth. Was the dayflower ever so elegant on a summer day. Have ever truly observed the lamb's quarters up close. The artist's camera ap­proached the modest flora along her neighborhood walking trail. To emphasize the unique force of each plant, she must have en­visioned the backdrops used in portrait photography studios, a conscious attempt to elevate these humble plants, position­ing the sky they gaze upon as their grand background. This per­spective allows us to meet them from a bug's eye view, an angle that no human gaze could naturally adopt.

A bluish aura pervades Eom Ki Ock's work, evoking an image of 'Blue Planet' Earth, where fallen stars of the land are reimagined. These stars are, in fact, leaves that were severed from branch­es due to human intervention. Leaves that once reached for the blue sky, now dream of it from the ground, transformed into cya­notype photographs, scattered like constellations. Since these images are created through direct contact with the leaves, they are impressions of reality itself, forming a symbiotic link between the world, the leaf, and the artist, connected through a process akin to photosynthesis. Leaves that have exhausted their life cycle reawaken in the photographic realm, performing a new kind of photosynthesis, manifesting an (un)real beauty that is both surreal and tangible.

Eom Ki Ock's photographs, imbued with a vegetal way of think­ing, are the outcome of an earnest desire to coexist harmonious­ly with the world. They reveal the world seen only with closed eyes, the discoveries found only at the lowest vantage points. They embody an irreplaceable and singular value, one that coex­ists in warmth and tranquility. Photographers are beings attuned to light, and a photograph truly shines when both the photogra­pher and the subject respond to light together. In Eom Ki Ock's works, where the plants that we often overlook have become the main protagonists, we witness the harmonious ecology of pho­tosynthesis materialized into art. 

Choi Yeon Ha (Art Critic) 


PlanningㅣDream Flower Factory     
Support ㅣ FUJIFILM KOREA
2025/03/08 – 2025/03/16

-


하루 더 마켓 - 도쿄

강병관, 김승호, 김덕원, 김동희, 김철승, 박태욱, 이미향, 이지원, 변해석, 성남훈, 송현, 양병만, 이강원, 이강호, 이희인, 정은지, 최미향, 함선아, 벨루가, 이재정, 임미숙, 조윤주, 지민




서울에서 만나는 <천 개의 카메라 - 도쿄> 워크숍 보고전시와 기부 마켓

서울에서 만나는 <천개의 카메라 – 도쿄> 워크숍에서 기록한 다채로운 도쿄의 사진을 판매해 기부하는 전시입니다. 워크숍에 참여한 24명의 사진가들의 저시 오프닝에는 <하루 더 마켓 + 파티>가 어우러지고, 작품은 공히 10만원에 판매됩니다. 

이를 통해 모아진 기금은 후지필름 코리아의 후원금과 함께 필요한 곳에 전하는 나눔 활동을 진행합니다. 후지필름 코리아는 사진을 통해 더욱 글로벌한 공감을 형성하고, 공익적 나눔을 통해 사진가들과 더욱 큰 보람을 나누려 합니다.




하루 더 마켓
2025.03.01 토요일 오후 3시
작가들과 소통하고 작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부 마켓과 파티


기부 마켓 전시
2025/02/27 - 2025/03/06 
11am - 6pm

주최 ㅣ 후지필름 코리아
협력 ㅣ 월간사진 사진바다 꿈꽃팩토리






-


A Day. The Bazzar. Tokyo

Kang Byung-kwan, Kim Seung-ho, Kim Deok-won, Kim Dong-hee, Kim Cheol-seung, Park Tae-wook, Lee Mi-hyang, Lee Ji-won, Byun Hae-seok, Seong Nam-hoon, Song Hyun, Yang Byung-man, Lee Kang-won, Lee Kang-ho, Lee Hee-in, Jeong Eun-ji, Choi Mi-hyang, Ham Seon-a, Beluga, Lee Jae-jung, Im Mi-sook, Jo Yoon-joo, Ji Min

This exhibition features a collection of vibrant photographs of Tokyo, captured during the <FUJIFILM Global Photography Network Exhibition & Work- shop - Tokyo>. These images, taken by 24 participating photographers, will be showcased and sold as part of a charitable initiative. At the opening event, 'A Day, The Bazzar  Tokyo' will take place, adding a festive atmosphere. All artworks will be sold at a uniform price of 100,000 KRW.

The funds raised from this exhibition, along with contributions from FUJIFILM Korea, will be donated to support meaningful causes. FUJIFILM Korea aims to foster a deeper global connection through photography and share a sense of fulfillment with photographers by contributing to public.

A Day, The Bazzar. Tokyo
2025/03/01 Saturday 3pm
A donation market and party where you can communicate with artists and purchase artworks.

Exhibition 
2025/02/27 - 2025/03/06
11am - 6pm

Host ㅣ FUJIFILM KOREA
Support ㅣ Monthly Photo, PhotoBada, Dream Flower Factory     
2025/02/27 – 2025/03/06

-


공간, 장소가 되다

김경희 

공간’을 ‘장소’로 탈바꿈하는 카메라

‘세태소설 : 어떤 특정한 시기의 풍속이나 세태의 한 단면을 묘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소설 양식.’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세태소설이란 장르가 있다. 백과사전의 모호한 정의를 대신해 말하자면, 특출한 한두 명 주인공의 극적인 드라마를 보여주기보다 비교적 여러 명의 조연 같은 주연들이 저마다의 이야기를 보여(들려)줌으로써 한 시대, 한 공간의 벽화를 그려내는 소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웅적이거나 비극적인 인물의 삶을 통해 교훈을 얻기보다 시대와 지역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삶을 통해 시대의 조감도를 엿볼 수 있는 소설이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거야말로 차분하고 세심한 다큐멘터리 사진들이 해온 일과 닿아있지 않을까. 

우리 문학사의 대표적인 세태소설로 흔히 1930년대 나온 박태원의 『천변풍경』을 꼽는다. 그 소설에는 1930년대 서울 청계천을 중심으로 살아가는 다양한 인간군상들의 삶이 담겨 있다. 또 다른 훌륭한 세태소설로 꼽히는 양귀자의 『원미동 사람들』에는 1980년대 서울 주변 위성도시의 일상적인 삶의 풍경이 담겨 있다. 1930년대 서울과 1980년대 수도권 위성도시의 삶이 어떠했는지 알고 싶다면, 그 시대를 카메라에 담은 사진가들의 다큐멘터리 사진과 함께 박태원, 양귀자의 소설을 함께 읽어보면 좋을 것이다. 

카메라라는 도구는 참 다재다능한 도구여서, 우리는 카메라로 시를 쓸 수도 있고 견고한 보고서를 작성할 수도 있으며 때론 잔잔한 에세이나 격정적인 소설을 창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진가 김경희가 한해 넘게 을지로라는 문제적 공간을 담아온 사진들은, 문학으로 치면 자못 세태소설스럽다.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아 무심한 척하지만, 또 그렇다고 피사체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지도 않다. 이 사진들 속에는 2020년대 초중반의 을지로의 세태가 담겨 있다. 이들 사진에는 결과물로 흔적을 남긴 사진 안쪽의 도상들 이외에, 김경희가 차분하게 진행해온 관찰과 성찰, 또 그 피사체가 된 공간, 사물, 사람들과의 공감의 정서가 스미고 배어 있다. 을지로 4가 공구상가를 은유하다시피 하는 쇠망치나 용접마스크 등 사물들을 대할 때에는 그 시선이 가만하며, 이 골목을 오래 지켜온 사람들을 카메라에 담을 때에는 자못 유머러스하기까지 하다. 그 모든 것이 어울려 사진적인 세태소설을 쓰고 있다.

인문 지리학의 세계적인 석학인 이 푸 투안은 그의 대표 저서 『공간과 장소』에서 ‘공간에 우리의 경험과 삶, 애착이 녹아들 때 그곳은 장소가 된다’고 하며 ‘공간’과 ‘장소’를 구분하고 있다. 우리가 모르는 무수한 어떤 곳들이 여전히 무심한 ‘공간’으로 남아있지만, 거기에 우리의 경험과 정서가 깃들 때 그곳은 우리에게 유의미한 ‘장소’로 탈바꿈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관찰의 도구이자 사색의 계기인 카메라만큼이나 ‘공간’을 ‘장소’로 탈바꿈하는 마법의 장치가 또 있을까? 그것은 카메라를 들고 그 공간으로 뛰어든 사진가뿐 아니라, 그 사진들을 바라보게 될 관람자에게도 일어나는 일이다. 특별히 을지로 4가 사업장의 사장님들이 꽃을 들고 찍힌 사진들은, 바로 그런 무색 무취 무미한 을지로라는 ‘공간’을 향기로 가득 채운 ‘장소’로 탈바꿈하는 작업으로까지 승화된다. 세태소설스러운 면모를 보이다가도 이런 사진들에서는 작가의 개입과 연출이 두드러진다. 이 사진들을 보노라면, 언제가는 공간과 장소의 구분조차 허락하지 않으며 무자비한 빌딩 숲으로 뒤바뀔지 모를 이 골목의 운명에 대해 연민과 불안, 현기증까지 느끼게 된다. 그렇다면, 이거야말로 차분하고 세심한 다큐멘터리 사진들이 해온 일과 닿아있지 않은가. 

이희인 (시각예술 연구자) 



-


A Space into the Place

Kim Kyung Hee

The Camera that Transforms ‘Space’ into ‘Place’

‘Setae Novel(Social Realism): A novel genre that aims to depict a cross-section of the customs or social trends of a particular period.’ – Korean National Cultural Encyclopedia

There is a genre called Setae novel. To elaborate beyond the vague definition found in encyclopedias, rather than portraying a dramatic story of one or two extraordinary protagonists, these novels present the stories of multiple supporting characters who each contribute to painting a mural of an era and its space. Instead of extracting lessons from heroic or tragic figures, these novels allow readers to glimpse a panoramic view of the times through the lives of those who share the same historical and geographical context. In this sense, doesn’t this approach closely align with what calm and meticulous documentary photography has been doing all along?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Sesae novels in Korean literary history is Riverside Scenery (천변풍경) by Park Tae-won, published in the 1930s. This novel captures the lives of various people living around Cheonggyecheon, Seoul, in the 1930s. Another widely recognized Sesae novel, People of Wonmi-dong (원미동 사람들) by Yang Gui-ja, presents everyday life in a satellite city near Seoul in the 1980s. If one wishes to understand life in 1930s Seoul or a suburban city in the 1980s, reading these novels alongside documentary photographs of the respective eras would be enlightening.

The camera is a remarkably versatile tool - it can be used to write poetry, craft detailed reports, and even create serene essays or passionate novels. The photographs that Kim Kyung Hee has taken of Euljiro over more than a year resemble a Sesae novel in literature. They appear indifferent by not intervening too aggressively, yet they do not remain distant from their subjects either. These images encapsulate the social landscape of Euljiro in the early-to-mid 2020s. Beyond the visual traces captured in the photographs, they also carry the photographer’s patient observations, reflections, and empathetic engagement with the spaces, objects, and people depicted. When facing tools like hammers or welding masks—symbols of the Euljiro 4-ga industrial district—her gaze remains composed, while portraits of the long-time residents of these alleyways even exude a subtle sense of humor. Together, they compose a photographic Sesae novel.

Yi Fu Tuan, a globally renowned scholar of human geography, differentiates between "space" and "place" in his seminal book Space and Place. He states that a location becomes a place when our experiences, lives, and emotional attachments become infused into it. Many places remain as indifferent, abstract spaces, but once our experiences and emotions take root, they are transformed into meaningful places. What, then, is more magical in turning "space" into "place" than the camera? This transformation occurs not only for the photographer who immerses themselves in a location but also for those who view these photographs. In particular, the images of Euljiro 4-ga shop owners holding flowers elevate this transformation even further, filling the once colorless, scentless space of Euljiro with fragrance and meaning, turning it into a place. While much of Kim Kyung Hee’s photography follows a Sesae novel-like approach, these staged and directed photographs reveal a more pronounced artistic intervention. Viewing these images evokes a sense of empathy, unease, and even vertigo as one contemplates the uncertain future of these alleys, which may one day be swallowed by an unforgiving forest of skyscrapers, erasing the distinction between "space" and "place" altogether. And in this, once again, doesn’t her work align with what calm and meticulous documentary photography has always sought to do?

Lee Hee-in (Visual Arts Researcher)
2025/02/08 - 2025/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