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thunder
공간 썬더는 썬더 코믹스에서 운영하는 갤러리입니다.
오래된 주택을 고쳐 갤러리로 탈바꿈 시킨 공간으로
그 이름처럼 공공으로 열려있으며 성별, 국적을 초월하여
끝없이 스파크가 튀는 공간을 꿈꿉니다.
또한 공간은 젊은 예술가들을 지원하며 지역 주민들의 쉼터가 되는 시설의 역할을 자처합니다.
멀리서 온 관광객들, 마을에 사는 주민들,
누구든 편하게 들어와 전시를 보면서, 또 마당을 거닐면서
예기치 못한 기쁨과 편안함을 누리길 바랍니다.
Space Thunder is a gallery run by Thunder Comics.
It is a space that has been transformed from an old house into a gallery
Like its name, it is open to the public and dreams of an endlessly sparky space across gender and nationality.
The space also supports young artists and serves as a shelter for local residents.
Tourists from afar, residents of the village,
anyone can come in comfortably and watch the exhibition, we hope you enjoy unexpected joy and comfort while walking through the space.
visit thunder
SPACE THUNDER | 공간 썬더
35, Bukchon-ro 11-gil, Jongro-gu, Seoul, Republic of Korea
서울특별시 종로구 가회동 33-12 |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11길 35 | 03052
화요일 - 일요일 12pm - 6pm ㅣ Tuesday to Sunday 12pm - 6pm
ow on thunder
감각 알고리즘
김민 개인전
눈앞에 펼쳐진 특정 장면에 반응하여 기억되는 장소의 외양과 감정을 잡아내려고 노력한다. 장소가 주는 감성적인 특징을 각각의 장면들로 합쳐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낸다. 일상생활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인공적으로 정돈된 장소를 좋아하여 야생의 환경을 정돈된 장소로 재창조하는 과정을 거친다.
야생 환경을 직접 체험하려면 노력(시간적, 의식적)을 들여야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정돈되지 않은 다소 복잡한 환경은 어색하고, 거리가 멀게 느껴진다.
그래서 정서적 특징을 내포하는 정돈된 장소로 재구성한 작품을 제작한다 .
장소는 비장소적일 수도 있다. 상상과 실제의 장소를 결합시켜 그리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직접 겪은 장소는 기쁨의 가능성과 새로운 환상이 일어날 수 있는 곳, 무언가가 일어나는 어떤 곳인 것이다. 이것은 심리적 의미의 축적을 반영하며 그 자체로 가치를 지닌다. 같은 장소에 다수의 공간이 동시에 존재하며, 당장 눈앞에 보인 풍경을 화면 너머로 들여다보듯 관찰하여 온전히 그곳에 대해 느낀 점을 표현한다.
장소는 시간성을 내포하며, 표면적인 외양보다. 은유적이고 상징적인 의미를 포함한다. 기억 속 내재되어 있는 감정이 작업 속에서 큰 역할을 한다. 날씨나 기분 같은 요소는 장소에 투사된 감정의
상징처럼 작용하기도 한다. 비록 특정 장면을 찍은 사진에 기반하고는 있지만, 주제는 실제 장소라기보다는 시각적 정보와 감정의 재현 양식인 것이다.
감각 알고리즘
김민 개인전
눈앞에 펼쳐진 특정 장면에 반응하여 기억되는 장소의 외양과 감정을 잡아내려고 노력한다. 장소가 주는 감성적인 특징을 각각의 장면들로 합쳐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낸다. 일상생활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인공적으로 정돈된 장소를 좋아하여 야생의 환경을 정돈된 장소로 재창조하는 과정을 거친다.
야생 환경을 직접 체험하려면 노력(시간적, 의식적)을 들여야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정돈되지 않은 다소 복잡한 환경은 어색하고, 거리가 멀게 느껴진다.
그래서 정서적 특징을 내포하는 정돈된 장소로 재구성한 작품을 제작한다 .
장소는 비장소적일 수도 있다. 상상과 실제의 장소를 결합시켜 그리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직접 겪은 장소는 기쁨의 가능성과 새로운 환상이 일어날 수 있는 곳, 무언가가 일어나는 어떤 곳인 것이다. 이것은 심리적 의미의 축적을 반영하며 그 자체로 가치를 지닌다. 같은 장소에 다수의 공간이 동시에 존재하며, 당장 눈앞에 보인 풍경을 화면 너머로 들여다보듯 관찰하여 온전히 그곳에 대해 느낀 점을 표현한다.
장소는 시간성을 내포하며, 표면적인 외양보다. 은유적이고 상징적인 의미를 포함한다. 기억 속 내재되어 있는 감정이 작업 속에서 큰 역할을 한다. 날씨나 기분 같은 요소는 장소에 투사된 감정의
상징처럼 작용하기도 한다. 비록 특정 장면을 찍은 사진에 기반하고는 있지만, 주제는 실제 장소라기보다는 시각적 정보와 감정의 재현 양식인 것이다.
-
Algorithm of Emotion
Kim Min Solo Exhibition
I strive to capture the appearance and emotion of places that emerge in response to particular scenes unfolding before me. By merging the emotional qualities of these individual moments, I construct new spatial compositions. I am drawn to artificially
organized sites found in everyday life and often engage in the process of recreating wild environments into ordered spaces.
A place may also be a nonplace, combining imagination and reality within the same image. A place I have personally encountered becomes a site of potential joy, of new fantasies, a locus where something happens. It reflects an accumulation of
psychological meaning and holds intrinsic value in itself. Multiple spatial layers may coexist within a single location. I observe the landscape as if looking through and beyond the surface of the image, expressing my emotional perception of that moment.
Each place carries its own temporality, embedding
symbolic and metaphorical meanings that go beyond its visible surface. The emotions latent in memory play a vital role in my work. Elements such as weather or mood operate as symbols of emotions projected onto the space. Although the work often
originates from photographs of specific scenes, its subject is not the physical location itself but rather a mode of representing visual information and emotion—a rearticulation of perception through affect and memory.
Algorithm of Emotion
Kim Min Solo Exhibition
I strive to capture the appearance and emotion of places that emerge in response to particular scenes unfolding before me. By merging the emotional qualities of these individual moments, I construct new spatial compositions. I am drawn to artificially
organized sites found in everyday life and often engage in the process of recreating wild environments into ordered spaces.
A place may also be a nonplace, combining imagination and reality within the same image. A place I have personally encountered becomes a site of potential joy, of new fantasies, a locus where something happens. It reflects an accumulation of
psychological meaning and holds intrinsic value in itself. Multiple spatial layers may coexist within a single location. I observe the landscape as if looking through and beyond the surface of the image, expressing my emotional perception of that moment.
Each place carries its own temporality, embedding
symbolic and metaphorical meanings that go beyond its visible surface. The emotions latent in memory play a vital role in my work. Elements such as weather or mood operate as symbols of emotions projected onto the space. Although the work often
originates from photographs of specific scenes, its subject is not the physical location itself but rather a mode of representing visual information and emotion—a rearticulation of perception through affect and memory.
2025.10.14 - 2025.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