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thunder
공간 썬더는 썬더 코믹스에서 운영하는 갤러리입니다.
오래된 주택을 고쳐 갤러리로 탈바꿈 시킨 공간으로
그 이름처럼 공공으로 열려있으며 성별, 국적을 초월하여
끝없이 스파크가 튀는 공간을 꿈꿉니다.
또한 공간은 젊은 예술가들을 지원하며 지역 주민들의 쉼터가 되는 시설의 역할을 자처합니다.
멀리서 온 관광객들, 마을에 사는 주민들,
누구든 편하게 들어와 전시를 보면서, 또 마당을 거닐면서
예기치 못한 기쁨과 편안함을 누리길 바랍니다.
Space Thunder is a gallery run by Thunder Comics.
It is a space that has been transformed from an old house into a gallery
Like its name, it is open to the public and dreams of an endlessly sparky space across gender and nationality.
The space also supports young artists and serves as a shelter for local residents.
Tourists from afar, residents of the village,
anyone can come in comfortably and watch the exhibition, we hope you enjoy unexpected joy and comfort while walking through the space.
visit thunder
SPACE THUNDER | 공간 썬더
35, Bukchon-ro 11-gil, Jongro-gu, Seoul, Republic of Korea
서울특별시 종로구 가회동 33-12 |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11길 35 | 03052
화요일 - 일요일 12pm - 6pm ㅣ Tuesday to Sunday 12pm - 6pm
공간썬더 초대전시
팔림프세스트 - 사라지며 남는 것들
정미정
기억은 단순한 과거의 재현이 아니다. 시간의 흐름 속에서 끊임없이 변형되고 삭제되며, 동시에 새로운 형태로 생성된다. 완결되지 않은 채 늘 불완전하고, 다시 쓰이는 텍스트로서의 성질을 지닌다. 이 점에서 기억은 하나의 팔림프세스트(palimpsest)와 닮아 있다. 지워지면서 남고, 남으면서 덧입혀지며, 그 흔적의 중첩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팔림프세스트는 원래 문헌학과 고고학의 개념에서 출발했지만, 현대 철학과 예술에서는 기억과 흔적, 시간의 중첩을 사유하는 은유로 확장되었다. 그리스어 palin(다시)과 psēstos(긁다)에서 유래한 이 개념은, 지워진 흔적 위에 새로운 흔적이 남더라도 과거의 흔적이 완전히 소멸하지 않고 배경 속에 잔존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기억의 본질과도 같다. 기억은 고정된 기록이 아니라, 지워지면서도 남고, 남으면서도 변형되는 층위적 존재다.
정미정의 회화에서 이러한 기억의 성질이 잘 드러난다. 건물의 격자, 스쳐가는 사람, 빛의 떨림과 같은 섬세한 묘사는 사실적 재현이 아니다. 흐려지고 지워진 흔적으로 남아 있으면서, 동시에 새로운 색과 선의 중첩 속에서 다시 태어난다. 사라짐과 남음, 부재와 현존이 교차하며 형성된 풍경은 익숙하면서도 낯선 감각을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회화적 과정은 단순한 개인적 기억의 재현을 넘어선다. 그것은 시간과 공간, 경험과 정체성이 얽혀 만들어내는 존재의 층위를 시각화하는 행위이다. 기억은 사라짐 속에서만 남고, 흔적 속에서만 드러난다. 그의 작업들은 과거의 기록이 아니라, 사라짐과 남음의 상호작용 속에서 끊임없이 다시 쓰이는 기억의 역동성을 담고 있다. 이는 마치, 시간에 의해 침식되면서도, 사라짐을 통해 새로운 형태로 남아나는 기억의 운명을 보여주는 것 같다. 그것은 회화라는 언어로 풀어낸, 하나의 시적이고 철학적인 작가의 진술로 볼 수 있을 것이다.
Space Thunder Invited Exhibition
Palimpsest - What Remains as It Fades
Jung Mijung
Memory is never a simple reproduction of the past. It transforms and shifts over time, always incomplete and always in the process of being rewritten. In this sense, memory resembles a palimpsest: traces that are erased yet remain, lingering beneath new layers and generating meaning through their overlapping presence.
The paintings of Mijung Jung embody this palimpsestic quality of memory. Architectural grids, fleeting figures, and the trembling of light appear not as faithful reproductions but as fragments such as blurred, erased, and reborn through layers of color and line. In her work, disappearance and persistence coexist, creating landscapes that are at once intimate and estranged.
Her artistic process is not about preserving or recording a fixed past, but about visualizing how memory continually erodes, resurfaces, and transforms. Through this, she reveals the paradoxical destiny of memory: to fade with time, yet to remain in new forms. Each painting becomes a site where the instability of memory is translated into visual thought, a poetic and philosophical statement expressed through the language of pain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