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thunder
공간 썬더는 썬더 코믹스에서 운영하는 갤러리입니다.
오래된 주택을 고쳐 갤러리로 탈바꿈 시킨 공간으로
그 이름처럼 공공으로 열려있으며 성별, 국적을 초월하여
끝없이 스파크가 튀는 공간을 꿈꿉니다.
또한 공간은 젊은 예술가들을 지원하며 지역 주민들의 쉼터가 되는 시설의 역할을 자처합니다.
멀리서 온 관광객들, 마을에 사는 주민들,
누구든 편하게 들어와 전시를 보면서, 또 마당을 거닐면서
예기치 못한 기쁨과 편안함을 누리길 바랍니다.
Space Thunder is a gallery run by Thunder Comics.
It is a space that has been transformed from an old house into a gallery
Like its name, it is open to the public and dreams of an endlessly sparky space across gender and nationality.
The space also supports young artists and serves as a shelter for local residents.
Tourists from afar, residents of the village,
anyone can come in comfortably and watch the exhibition, we hope you enjoy unexpected joy and comfort while walking through the space.
visit thunder
SPACE THUNDER | 공간 썬더
35, Bukchon-ro 11-gil, Jongro-gu, Seoul, Republic of Korea
서울특별시 종로구 가회동 33-12 |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11길 35 | 03052
화요일 - 일요일 12pm - 6pm ㅣ Tuesday to Sunday 12pm - 6pm
평면 조립
김규원, 박에스더, 이수빈, 이재희,정은지,최은혜
인쇄물은 단지 그림이 아니다. 그것은 수많은 도트dot의 결합으로 탄생하는 조합의 장이다. 평면 위에서 서로 다른 기술과 감각이 중첩되고, 분해되고, 재배열된다. 이 과정 속에서 우리는 단절된 감각들을 하나의 질서로 조직하는 방식, 즉 조립assemblage의 움직임을 발견하게 된다.
「평면 조립 Flat Assemblage」은 스크린프린트, 리소그래프, 디지털 프린트, 콜라주, 페이퍼아트 등의 다양한 인쇄 기반 평면 매체를 통해 6인의 작가가 각기 다른 파편적 조형 언어를 한 공간 위에 병치하고 조합하는 실험이다. 아상블라주assemblage가 물리적 오브제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형식을 생성하듯 이 전시는 인쇄라는 평면성 위에서도 이질적인 요소들 간의 관계와 조화를 탐색한다. 아상블라주 이론은 다수의 이질적 요소들이 관계망 속에서 비非선형적으로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를 생산하는 과정에 주목한다. 이 전시의 인쇄 작업 또한 고정된 내러티브 대신, 유동적인 조립 과정을 거쳐 관람자가 스스로 조합의 맥락을 구성하도록 여지를 남긴다. 서로 다른 시점과 기술이 한 평면 위에서 만들어내는 관계의 순간들,
그것이 이번 전시 공간의 핵심 풍경이다.
인쇄는 결과물이 아니라 개방된 가능성으로서
다시 조립될 수 있는 잠재 상태이다.
「평면 조립 Flat Assemblage」은 단일 메시지가 아니라, 관람자 자신이 조립 가능한 조각들 사이를 가로지르며 내면의 연결고리를 발견하도록 유도한다.
충주시, 충주문화관광재단 지원
Flat Assemblage
Kim Kyuwon, Park Esther, Lee Subin, Lee Jaehee, Jung Eunji, Choi Eunhye
Print is not merely an image. It is a field of combinations born from the convergence of countless dots. On a flat surface, different techniques and sensibilities overlap, decompose, and are rearranged. Through this process, we discover a method of organizing fragmented sensations into a single order—an act of assemblage.
「Flat Assemblage」 is an experimental exhibition where six artists juxtapose and combine their distinct, fragmented visual languages within a shared space through print-based flat media. Just as the theory of assemblage generates new forms through the physical combination of disparate objects, this exhibition explores the harmony and relationships between heterogeneous elements within the flatness of print. The assemblage theory focuses on the process in which multiple disparate components form new structures through nonlinear interactions within a network.
Likewise, the print works in this exhibition do not deliver fixed narratives but instead leave room for viewers to construct their own contexts through a fluid process of assembly. The moments of relationality created on a single plane—between different viewpoints and techniques—form the core landscape of this exhibition space.
Print is not a finished outcome, but a latent state—an open possibility to be reassembled. 「Flat Assemblage」 does not present a singular message; rather, it invites viewers to traverse between composable fragments and discover inner connections of their own.
Supported by Chungju City and Chungju Cultural & Tourism Foundation